인천광역시는 12일부터 18일까지 제75주년 인천상륙작전 기념주간을 운영하며 국제평화도시로서의 위상을 재확인했다. 올해 행사는 참전 7개국 가운데 미국·영국·호주·캐나다·프랑스·뉴질랜드 등 6개국 군·외교 고위 인사와 주한 무관단, 한·미 군 지휘부 등 다국적 인사들이 대거 참석해 국제 행사의 면모를 갖췄다.
![]() [코리안투데이] 인천, 제75주년 인천상륙작전 기념주간 개최… 국제평화도시 위상 재확인 © 임서진 기자 |
핵심 행사인 국제평화안보포럼 인천(IPSF)은 15일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렸다. 세계 석학과 청년 등 1,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참가자들은 “오늘의 연대가 내일의 평화를 연다”를 기치로 ‘평화를 향한 연대와 협력 선언’을 공동 채택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이번 선언은 인천상륙작전의 정신을 국제 협력으로 확장하는 새로운 출발점”이라고 밝혔다.
추모와 감사 행사도 이어졌다. 12일에는 해군 대형수송함 마라도함 승선 ‘해상헌화 & 항해체험’이 진행돼 팔미도 권역에서 헌화가 이루어졌다. 참전국 국방무관, 미군 장성, 서호주 해군협회 등 해외 인사와 인천시민 500여 명이 참여해 국제사회가 함께 기억하는 추모의 장을 마련했다.
기념식 전날인 14일 하버파크호텔에서는 환영 감사만찬이 열렸다. 새뮤얼 파파로 인도·태평양사령관,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미 연합사령관, 해군참모총장 등 군·외교 고위 인사가 참석해 참전용사와 교류했다. 유정복 시장은 국내외 참전용사에게 감사를 전했으며, 행사에서 공개된 맥아더 장군 직계 가족의 친서는 “한반도의 평화가 곧 세계 평화”라는 메시지를 담았다.
15일 내항 8부두 기념식에서는 상륙작전 재현 퍼포먼스가 진행돼 시민과 외빈 1,500여 명이 1950년 9월 당시의 작전 상황을 체감했다. 재현 행사는 전쟁사 교육적 의미를 부각하며 안전과 자유의 가치를 공유하는 시간으로 구성됐다.
시민 참여형 프로그램도 확대됐다. 14일 동인천역 남광장에서 중구청까지 1.6km 구간에서 열린 거리퍼레이드에는 군 관계자, 어린이합창단, 외국인 유학생, 여성예비군, 지역 단체, 시민 등 2,000여 명이 참여했다. 군 장비 전시 대신 시민 응원단과 합창이 중심이 되어 원도심을 화합의 장으로 만들었다. 퍼레이드 종착지인 인천 중구청 앞에서는 인천수복기념식 재현이 이어져, 과거 연합군과 시민이 함께했던 수복의 순간을 현장 체험 형식으로 구현했다.
문화 프로그램은 기억과 평화의 메시지를 일상 언어로 풀어냈다. 문학산음악회는 평화를 주제로 구성됐고, 창작뮤지컬 ‘그 밤 불빛하나는’은 전쟁 속 인간애를 다뤘다. 프랑스 파리나무십자가 소년합창단 공연과 국내외 35개 합창단이 참여한 인천국제합창대축제는 음악을 통해 화합을 강조했다. 기념식 이후 상상플랫폼 웨이브홀에서 열린 ‘호국음악회’는 순국과 희생을 기리는 무대로 주간의 대미를 장식했다.
인천시는 이번 기념주간을 ‘헌신으로 얻은 자유, 국제평화도시 인천’이라는 주제로 구성했다. 전체 프로그램은 기억과 감사, 화합과 평화, 연대와 미래, 참여와 공감의 4개 축으로 설계됐다. 팔미도 헌화와 추모 의식은 희생의 뿌리를 재조명했고, 국제 포럼과 환영 만찬은 네트워크를 확장했다. 거리퍼레이드와 수복 기념 재현을 통해 시민 참여를 강화했으며, 문화·공연 콘텐츠로 청소년과 일반 시민의 접근성을 높였다.
시는 이번 주간을 통해 참전용사 예우를 강화하는 한편, 국제협력의 플랫폼을 재정비했다는 평가다. IPSF에서 채택된 선언은 학계·군·외교·청년이 참여하는 협력 구조를 명문화했고, 추모·체험·공연의 결합은 전쟁 기억의 전승 방식을 시민 중심으로 전환했다. 시 관계자는 “기억과 교육, 문화와 외교를 결합한 복합형 평화축제로서 모델을 공고히 했다”고 전했다.
인천시는 향후에도 국제 평화도시 이미지를 강화하기 위해 관련 교류를 지속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참전국 도시 및 기관과의 협력 프로그램을 정례화하고, 청년·시민 참여 폭을 넓혀 세대 간 연대를 강화한다. 또한 디지털 아카이브와 체험형 교육 콘텐츠를 확충해 전쟁사 교육의 현대화를 추진할 방침이다.
이번 제75주년 기념주간은 과거의 전투를 기념하는 차원을 넘어, 현재의 연대와 미래의 평화를 설계하는 도시 전략을 가시화했다. 인천시는 “시민이 주체가 되는 평화축제”라는 방향성을 유지하며, 국제사회와의 협력 속에서 평화의 가치를 일상으로 확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