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전국 최초 매년 갱신되는 고정밀 전자지도 구축

Photo of author

By 코리안투데이 안양과천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가 국토교통부 주관 ‘2025년도 고정밀 전자지도 구축 챌린지 사업’에서 1위로 최종 선정되며, 전국 최초로 매년 갱신되는 고정밀 전자지도 체계를 구축한다. 이번 성과로 인천시는 2년간 총 24억 원 규모의 국비를 확보하며, 데이터 기반 행정 혁신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인천시, 전국 최초 매년 갱신되는 고정밀 전자지도 구축

 [코리안투데이] 2025년 추가로 구축되는 고정밀 전자지도(105.75㎢)  © 김미숙 기자

 

기존 10년 이상의 갱신 주기를 1년으로 단축하는 이번 사업은, 1:1,000 수치지형도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트윈(Digital Twin) 구축을 목표로 한다. 디지털트윈이란 현실 세계의 사물이나 환경을 디지털 데이터 모델로 복제하여 실시간으로 변화에 반응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특히, 인천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라이다(Lidar) 및 드론을 활용하여 도로, 건물 등의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반영하는 전자지도를 구축할 계획이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연속 선정된 인천시는 올해 국비 11억 5천만 원을 추가 확보하며, 2024년부터 2025년까지 총 24억 원(국비·시비 매칭)을 투입한다.

 

고정밀 전자지도는 행정 업무의 핵심 기반 자료로 활용된다. 정책 입안, 도시계획, 인허가 업무, 시설물 관리 등 공공 분야뿐만 아니라, 민간 분야에서도 교통, 물류, 스마트시티, 부동산 개발 등에 적극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기존 전자지도는 갱신 주기가 길어 최신성 및 데이터 정합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이에 인천시는 2024년부터 노후 미갱신 지역 135.75㎢에 대한 전자지도 수정 및 갱신 최적화 방안을 연구하고 있으며, 2025년에는 구축된 지 5년에서 25년이 지난 지역 105.75㎢에 대한 갱신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에서는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지형정보 변동 탐지 기술도 적용된다.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도시 환경을 정밀하게 반영할 수 있으며, 연간 약 50억 원의 수정 제작 비용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이철 인천시 도시계획국장은 “전국 최초로 연 단위 갱신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시민들에게 최신 전자지도를 더욱 편리하게 제공할 계획”이라며, “공공·민간 분야의 데이터 활용도를 높이고, 관련 산업의 성장과 기술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을 통해 인천시는 단순한 지도 제작을 넘어 스마트 행정과 디지털트윈 기반 정책 수립에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하게 됐다. 2026년부터 본격적인 시범 도입이 예정된 인천형 전자지도 연 단위 갱신체계가 향후 전국적으로 확산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