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활동지원비 4억 부정수급… 권익위 “복지 예산 누수 막는다”

Photo of author

By 코리안투데이 발해

장애인활동지원센터 대표 A씨는 지인 14명을 활동지원사로 등록한 뒤 2014년부터 2021년까지 총 6,500여 건에 걸쳐 허위로 바우처 카드를 결제했다. 실제 서비스는 제공되지 않았고, ㄱ씨는 이 방식으로 약 4억 원 상당을 빼돌렸다. 현재 그는 부정수급 혐의로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다. 이처럼 취약계층을 위한 복지제도를 악용한 사례가 지속되자, 국민권익위원회는 복지분야 부정수급 집중신고기간을 4월 30일까지 한 달간 운영한다고 밝혔다.

 

 

장애인활동지원비 4억 부정수급… 권익위 “복지 예산 누수 막는다”

 [코리안투데이] 복지분야 부정수급 집중신고기간 포스터 (사진=국민권익위원회) © 변아롱 기자

 

 

신고는 청렴포털(clean.go.kr), 방문, 우편, 팩스를 통해 누구나 가능하며, 신고자의 인적사항은 철저히 비공개 처리된다. 신고가 인정될 경우 최대 30억 원의 보상금도 지급될 수 있다. 부정수급 신고 대상은 ▲수급자격이 없음에도 허위로 수급을 받은 경우 ▲실제보다 과다 청구한 경우 ▲지원금을 목적 외로 사용한 경우 등이다.

 

 

국민권익위에 따르면 복지 분야는 전체 공공자금 부정수급 분야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실제로 2024년 상반기 공공기관이 결정한 전체 부정수급 환수금 중 복지 분야에서만 약 373억 원(전체의 69%)이 발생했다. 주요 유형으로는 ▲기초생활보장급여 허위 수급 ▲한부모가족지원금 편취 ▲장애인활동지원비 부정사용 ▲육아휴직급여 중복 수령 등이 대표적이다.

 

 

적발될 경우 부당이익 전액 환수는 물론, 최대 5배의 제재부가금이 부과되고, 허위 청구나 사기 등이 인정되면 형사처벌도 피할 수 없다. 다만 행정청에 자진신고하면 제재부가금이 일부 감경되거나 면제될 수 있다.

 

 

국민권익위는 “부정수급으로 인해 복지 예산이 새어나가는 현실은 매우 심각하다”며, “정작 도움이 필요한 저소득층과 장애인에게 예산이 제대로 전달되도록 부정수급에 대해 강력히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가정의 달, 예술로 전하는 사랑과 감동… 제42회 서울예술가곡제 ‘세상의 빛’ 콘서트 개최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