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까지 침투한 AI 요약… 크리에이터 수익 구조 흔드나

Photo of author

By 코리안투데이 발해

구글이 검색에 이어 유튜브에도 ‘AI 개요(AI Overviews)’ 기능을 도입하며, 크리에이터 수익 모델에 거센 파장이 예상된다.

 

[코리안투데이] 기사와 관련없는 사진.(사진출처=FREEPIK.COM) © 변아롱 기자

23일(현지시간) 구글은 유튜브 커뮤니티 포럼을 통해 일부 미국 프리미엄 이용자를 대상으로 ‘AI 개요’ 기능 테스트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이번 실험은 영어권을 중심으로, 검색어에 따라 관련 영상을 AI가 자동으로 요약해 하이라이트 클립 형태로 보여주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기존 구글 검색의 AI 개요는 대형언어모델(LLM)을 활용해 웹페이지를 요약해 보여주는 기능이었다. 이번에 유튜브로 확장된 버전은 텍스트가 아닌 영상 클립을 요약해 보여주는 것이 핵심이다. 사용자가 특정 키워드를 검색하면, 관련 영상 전체를 시청하지 않고도 핵심 장면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구글은 이번 기능에 대해 “특정 제품 정보나 지역 추천 콘텐츠를 찾을 때 유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최고의 소음 차단 헤드폰’을 검색하면 리뷰 영상에서 중요한 장면만 골라 보여주거나, ‘샌프란시스코 박물관 추천’을 입력하면 관련 관광 영상을 요약해 제공하는 식이다.

 

 

하지만 유튜브 크리에이터들은 우려를 감추지 않고 있다. 기존 웹 검색에서는 AI 요약이 링크 클릭을 줄이며 웹사이트 방문자 수를 감소시킨다는 부작용이 지적됐다. 이제 유튜브에서도 하이라이트만 소비하는 사용자가 늘어날 경우, 영상 본편 클릭률과 광고 수익이 감소할 수 있다는 걱정이 커지고 있다.

 

 

특히 유튜브는 조회수 기반 수익 구조를 가지고 있는 만큼, 영상 완주율과 시청 시간 감소는 곧바로 수익 감소로 직결될 수 있다. “콘텐츠를 보려면 직접 클릭하라”는 기존의 흐름이, “핵심만 요약해서 보라”는 방향으로 전환되면, 크리에이터 생태계에 적지 않은 충격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구글은 프리미엄 사용자 대상 테스트 과정에서 ‘좋아요’와 ‘싫어요’ 버튼을 통해 사용자 피드백을 수집하고 있으며, 기능 확대 여부는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테스트 기간이나 공식 출시 일정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AI 기반 검색 요약이 웹사이트 트래픽을 잠식한 데 이어, 이제는 동영상 플랫폼까지 영향이 미치면서, AI가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수익 구조를 근본부터 재편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번 실험 결과에 따라, 크리에이터 보호 대책이나 새로운 수익 모델 마련 요구가 본격화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