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인공지능 대전환, 과기정통부와 산업부 협력 본격화

Photo of author

By 코리안투데이 발해

 

산업 인공지능 대전환을 위한 두 핵심 부처의 협력이 본격화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8월 14일 고위급 정책 협의를 통해 산업 현장의 인공지능 확산과 기술 생태계 구축을 위한 협력 체계를 가동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회의는 산업 인공지능 대전환을 이끌기 위한 부처 간 전략적 연대의 출발점으로 평가된다.

 

 [코리안투데이] 산업 인공지능 대전환, 과기정통부와 산업부 협력 관련이미지   © 송정숙 기자

 

이번 협의에는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과 류제명 제2차관, 김정관 산업부 장관과 문신학 제1차관이 참석했으며, ‘피지컬 AI’로 대표되는 하드웨어 중심 기술과 소프트웨어 중심의 원천기술 사이의 경계를 허물고 상호 보완적 발전을 위한 실행 로드맵을 논의했다. 이들은 인공지능 3대 강국 진입이라는 국가 전략 목표를 공유하며, 각 부처의 역할과 역량을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데 의견을 모았다.

 

과기정통부는 원천기술 및 SW 기반 AI 분야에 강점을, 산업부는 현장 기반 하드웨어와 응용기술 중심의 정책을 주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양 부처는 공동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상호 상승효과를 창출하기로 했으며, 첫 번째 과제로는 지역 인공지능 선도모형 구축을 위한 대형 프로젝트 공동 기획이 선정됐다. 연내 본격 추진될 이 사업은 지역산업과 AI 기술의 융합을 통해 전국 단위의 AI 확산을 목표로 한다.

 

뿐만 아니라, 차관급 정책협력 협의체가 새롭게 구성되어 공동사업과 정책 발굴, 민·관 연합체 간 연계를 통한 다층적 협력 플랫폼이 마련될 예정이다. 전문가 교류 역시 강화된다. 양 부처 산하 연구기관과 민간 부문 간 기술, 데이터, 인력 교류를 촉진하고, 각 부처의 전문가들이 서로의 주요 사업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기회도 확대된다.

 

산업 인공지능 대전환은 단순한 기술혁신을 넘어 산업 전반의 구조 전환을 의미한다. 제조 AI, 피지컬 AI, AI 반도체 등 첨단 기술의 접목은 국가 경쟁력과 직결되는 핵심 과제이며, 정부 차원의 유기적 협력이 뒷받침될 때 비로소 지속 가능한 AI 생태계가 구축될 수 있다.

  

이번 고위급 협의는 정부가 단기 정책을 넘어 장기적 국가 전략 관점에서 산업 인공지능 대전환을 준비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과기정통부와 산업부는 향후 세부 사업별 실행 계획을 마련하고, 현장 중심의 의견을 반영하며 정책을 구체화해 나갈 예정이다.

[송정숙 기자: gangseo@thekoreantoday.com]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발해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