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 120.4% 초과 달성

 

탄소중립 실현을 향한 세종시의 정책이 성과를 내고 있다. 2024년 세종시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무려 120.4% 초과 달성하며, 친환경 도시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이번 실적은 27일 열린 ‘2025년 제2차 세종시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에서 발표됐다. 시는 지난해 목표치였던 2만 5,969톤보다 5,307톤 더 많은 3만 1,277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했다. 감축 주력 분야는 수송과 폐기물로, 각각 1만 4,967톤, 1만 2,189톤을 줄이며 전체 감축량의 86.7%를 차지했다.

 

수송 부문에서는 시민 대중교통 이용을 유도하는 ‘세종 이응패스’가 큰 역할을 했다. 교통수단을 친환경 방식으로 전환하면서 일상 속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데 효과가 있었다. 폐기물 부문에서도 ‘생활폐기물종합처리시설’의 안정적인 운영이 주효했다. 자원순환을 촉진하고 에너지 회수율을 높여 실질적인 감축 효과를 거뒀다.

 

세종시는 앞으로도 탄소중립 정책을 강화할 방침이다. 최민호 시장은 위원회를 통해 시 정책이 곧 국가적 환경정책과 연결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세종시의 노력은 지구의 미래를 지키는 일”이라며 “지속가능한 탄소중립 도시 조성을 위해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2024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 120.4% 초과 달성

 [코리안투데이] 제2차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개최 © 이윤주 기자

 

이날 회의에서는 제2기 민간위원 15명에 대한 위촉장 수여가 이뤄졌고, 민간 공동위원장으로 정상만 한국재난안전기술원 원장이 선출됐다. 민관 협력 체계 강화로 세종시의 탄소중립 비전이 더욱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감축 실적은 단순 수치 이상이다. 시민의 참여와 행정의 전략적 추진이 맞물려 만들어낸 결과다. 세종시는 앞으로도 교통, 폐기물 외에도 에너지 효율화, 녹지 조성 등 다양한 분야로 탄소중립 정책을 확장할 계획이다.

 

세종시는 2025년 이후에도 꾸준한 정책 점검과 보완을 통해, ‘탄소중립 모범 도시’로의 전환을 준비하고 있다.

 

 

 

성동구, 어르신 낙상 예방 ‘건강 증진 교실’ 운영… 체계적 운동으로 건강한 노년 지원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부천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