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4월부터 6월까지 빅데이터를 활용해 위기가구 발굴에 나선 결과,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있던 1천5백 명의 위기 도민을 발굴하여 지원했다고 10일 밝혔다.
![]() [코리안투데이] 경기도청 전경 ©김나연 기자 |
경기도는 복지사각지대 발굴시스템 위기정보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의료비 과다 지출 및 금융연체 기록이 있는 노인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천5백 명의 위기 도민을 발굴해 지원했다. 이번 조사는 4월부터 6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총 2천7백 명의 노인가구를 선별해 31개 시군과 함께 전화 및 방문 조사를 실시했다.
발굴된 1천5백 명 중에서 218명은 기초생활보장, 차상위, 긴급복지 등 공적 급여를 지원받았다. 특히, 기초생활보장 25명, 차상위 9명, 긴급복지 19명이 해당됐다. 공적 지원 대상이 되지 않으나 어려운 상황에 처한 1천282명에게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등 민간 자원을 지원하고, 신용회복위원회 등 타 기관의 서비스를 연계하여 위기 상황을 해소하도록 도왔다.
경기도는 복지부의 복지사각지대 발굴 프로그램을 통해 위기 징후가 있는 2천 명을 추가로 선별해 6월부터 현장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 조사는 7월까지 마무리될 예정이며, 이후에도 공공 및 민간의 복지서비스를 제공하여 필요한 지원을 계속할 방침이다.
허승범 경기도 복지국장은 “복지 사각지대 발굴시스템 위기정보 빅데이터를 활용한 기획 발굴 조사와 함께 관계기관 및 단체와 협력하여 복지 사각지대를 선제적으로 찾아 지원하고 있다”면서, “위기 이웃을 발견하면 경기도 긴급복지 위기 상담 핫라인(010-4419-7722), 경기도콜센터(031-120) 또는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로 연락해 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한편, 경기도는 무더위로 인한 온열질환과 냉방비 부담이 증가하는 시기를 고려해, 월세 취약가구 중 에너지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복지 사각지대 발굴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 대상에는 단전, 단수, 단가스, 전기료 체납, 통신비 체납, 금융연체자 등이 포함된다.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