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지난 4월 12일부터 20일까지 서면으로 개최된 ‘제15차 규제자유특구위원회’에서 ‘울산 암모니아 벙커링 규제자유특구’가 최종 지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특구 지정은 울산이 보유한 조선과 화학산업 인프라를 십분 활용해, 암모니아 기반의 친환경 조선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글로벌 해운 연료 전환 흐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이다.
‘규제자유특구’는 지역을 단위로 신산업 관련 규제를 묶음으로 완화해, 새로운 기술을 규제 없이 시험하고 산업화할 수 있는 제도다.
‘울산 암모니아 벙커링 특구’는 고정된 이동식 탱크로리를 이용해 중대형 선박에 암모니아 연료를 안전하게 공급하는 기술 및 기자재 개발·실증이 핵심이다.
![]() [코리안투데이] 울산테크노파크_울산 암모니아 벙커링 규제자유특구사업 발표 자료(1) © 정소영 기자 |
특구 지정기간은 2025년 6월부터 2027년 12월까지 2년 7개월이며, 필요시 2년 연장이 가능하다. 총 사업비는 160억 원이 투입되며, 기반조성(43억 원), 실증 연구개발(R&D)(87억 5,000만 원), 사업화 지원(30억 원) 등으로 나눠 추진된다.
사업에는 울산테크노파크,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울산대학교, 에이치디(HD)현대중공업(주) 등 23개 기관이 참여하며, 암모니아 벙커링 기술의 국산화 및 국제표준 대응을 목표로 한다.
기반조성 사업은 실환경 모사 기반 트럭-선박 간 연료공급 안전훈련 시스템 구축, 가상 모의훈련 체계 개발, 기자재 시험인증 기반 구축, 관련 국내외 표준 개발 등이 포함된다.
실증 R&D는 암모니아 벙커링 기자재 성능평가와 실증, 트럭-선박 연료공급 안전성 평가 등이 중점이며, 사업화 지원은 상용화, 판로개척, 기술자문, 지식재산권 확보 등을 포괄한다.
![]() [코리안투데이] 울산테크노파크_울산 암모니아 벙커링 규제자유특구사업 발표 자료(2) © 정소영 기자 |
이번 특구 지정으로 기존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등의 규제로 불가능했던 ‘이동식 탱크로리 이용 해상공급 실증’이 가능해졌다는 점에서 산업적 파급력이 크다.
기존에는 선박이 연료공급시설에 직접 접안해야 했지만, 앞으로는 건조 중인 선박에도 암모니아를 바로 충전할 수 있어 유연성과 효율성이 크게 향상된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암모니아는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무탄소 연료로, 2050년까지 해운업 연료의 44%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다”며 “이번 특구 지정은 울산이 글로벌 친환경 해운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기회”라고 강조했다.
류홍렬 에이치디현대중공업 CTO는 “트럭-선박 간 실증 성공을 통해 중형에서 대형 선박으로 기술 확대를 기대한다”며 “이번 특구를 계기로 국제표준 정립까지 주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영신 울산테크노파크 원장은 “이번 지정은 울산 조선·화학 산업의 미래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며 “기술 실증을 넘어 세계 표준을 선도하는 생태계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울산시는 2024년 상반기부터 해당 특구 지정을 위해 관계 기관과의 협력 및 행정적 설득 논리를 마련하고, 지난해 9월 예비특구로 선정된 이후 올해 1월 사업신청을 통해 최종 지정에 성공했다.
암모니아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으며, LNG나 수소보다 액화가 용이하고 기존 운송 인프라와 호환성이 높아 차세대 친환경 선박 연료로서 주목받고 있다.
울산은 이번 특구 지정을 계기로 암모니아 벙커링 기술 실증과 산업화, 국제표준 선점을 위한 교두보를 확보하게 됐다.
[ 정소영 기자: ulsangangbuk@thekoreantoday.com ]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