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방재 전문가 키우는 대학, 국가재난관리 새 판을 짠다

정부가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사회 구축을 위해 본격적으로 전문 인재 양성에 나섰다. 행정안전부는 8월 6일 강원대학교, 숭실대학교, 연세대학교, 한양대학교 등 4개 대학과 ‘지진방재분야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앞으로 2년간 14억 4천만 원의 국비가 투입돼 현장 중심의 지진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이 추진된다. 이는 2016년 경주지진과 2017년 포항지진 이후 지진 안전망 확충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시작된 석·박사급 교육사업의 연장선이다.

 

지진방재 전문인력 양성사업은 내진 설계, 지반 동역학, 구조진동론 등 실질적인 내진 분야 과목과 지질학, 지구 내부물리학 등 지질 분야 과목을 포함해 총 24학점 이상을 이수해야 하는 과정이다. 또한 지진 관련 학위 논문 1편 이상 제출을 졸업 요건으로 정해 철저히 현장과 맞닿아 있다. 지난 2024년까지 총 545명이 참여해 254명의 전문가가 구조 설계, 안전 진단, 기반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중이다. 이들은 실제 재난 현장에서 대응 역량을 높이고 재난 안전 사회를 구축하는 데 핵심 역할을 맡고 있다.

 

이번 협약에서 정부는 기존 교육기관 사업 종료에 대비해 신규 기관을 공모하고 심의위원회 평가를 거쳐 대상 대학을 선정했다. 평가는 학위 과정 운영의 적정성, 학생 선발 계획, 산업체 협력 프로그램 운영, 현장 실습 및 인턴십 등 현장성을 중점적으로 두었다. 이를 통해 전문성뿐 아니라 실무 활용 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이 가능하도록 구조를 설계했다. 또한 연차별 평가를 통해 사업비 차등 지원과 성과 미흡 기관에 대한 향후 사업 참여 제한까지 명문화해 교육 품질 관리에도 방점을 찍었다.

 

 [코리안투데이] 필수 교과목 ( 사진 = 행정안전부 )© 송현주 기자

정부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내진·지질 분야와 방재 분야 간 협업을 통한 융합형 인재 양성에 초점을 맞췄다”며 “교육기관이 자립 기반을 마련해 자발적으로 인력 양성 체계를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병권 자연재난실장 역시 “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통해 국가 재난관리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지진 위험이 증가하는 현실에서 전문 인력 양성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다. 특히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는 예측이 어려워 사전 대비가 핵심이다. 이번 협약이 단순한 학문 연구를 넘어 실질적인 재난 대응 능력을 끌어올리는 데 기여할지 주목된다. 더 나아가 이번 교육 과정을 거친 인재들이 국내뿐 아니라 해외 재난 현장에서도 활약하는 등 글로벌 안전망 구축에도 기여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 송현주 기자 : mapo@thekoreantoday.com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대한민국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