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양산~부산 광역철도, 국가 승인 확정…2031년 개통 목표

 

울산~양산~부산을 잇는 광역철도 사업이 기획재정부 제7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의 예비타당성조사 통과로 최종 확정됐다.  

 

울산시는 10일, 부울경 3개 시도가 국토교통부와 협력하여 추진한 ‘울산~양산~부산 광역철도’ 건설 사업이 국가 예타를 통과하면서 본격적으로 추진된다고 밝혔다.  

 

총 사업비 2조 5,475억 원이 투입되는 이번 사업은 2031년 개통을 목표로 하며, KTX울산역에서 출발해 무거, 양산 웅상, 부산 노포역까지 총 연장 47.6km에 달하는 노선에 11개 정거장이 신설된다.  

 

전 구간 소요 시간은 약 45분으로 계획되며, 하루 35회 운행될 예정이다. 특히 울산에는 KTX울산역, 유니스트, 범서, 무거, 울주군청, 웅촌 등 6개 정거장이 설치되며, 무인운전 경전철(AGT) 시스템이 도입된다.  

 

이 가운데 KTX울산역~무거 구간은 셔틀 열차가 별도 1일 16회 추가 운행되어 총 51회가 운영된다. 배차 간격은 15~20분, 구간 소요 시간은 약 15분 내외로 시민의 체감 편의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코리안투데이] 노선도 © 정소영 기자

 

이번 광역철도는 무거 신복 정거장에서 트램 1호선과 직접 연결되며, 향후 남북축 2호선, 동구 방향 3호선, 원도심 연결 4호선과 연계돼 도심과 외부를 연결하는 철도 중심 교통체계 구축의 핵심축이 될 전망이다.  

 

울산시는 사업 추진을 위해 시·도지사 공동건의, 시민 염원 영상 제작, 정책성 효과 자료 제출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다. 지난달 열린 분과위 회의에도 안승대 행정부시장과 이순걸 울주군수가 참석해 사업의 시급성과 필요성을 강조했다.  

 

광역철도 건설은 교통 편의성 제고를 넘어, 고용 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울산시는 건설·운영 과정에서 약 5만 명의 고용 유발을 예상하고 있으며, 역세권 도시재생 및 상권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특히 KTX울산역 인근의 복합특화단지, 도심융합특구, 범서 선바위 공공주택지구, 웅촌 남부권 신도시 등 주요 개발사업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울산시는 2027년까지 기본계획 및 설계를 완료하고, 2030년 공사 준공, 2031년 개통을 목표로 부산·경남과 함께 신속한 행정 절차에 착수할 계획이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이번 예타 통과는 울산의 광역교통 구조를 근본적으로 혁신하는 기점이 될 것”이라며, “도시 내부는 트램으로, 외부는 광역철도로 연결되어 제2의 도약을 준비하는 울산의 생명선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KTX울산역~양산~김해) 사업도 지난해 말 예타에 착수했으며, 울산시는 국토부 및 인접 지자체와의 긴밀한 공조를 통해 연내 가시적 성과를 도출하겠다는 방침이다.  

 

[ 정소영 기자: ulsangangbuk@thekoreantoday.com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대전동부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