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황금기 속 구조조정 신호… MS의 데이터센터 브레이크가 던진 메시지

생성형 인공지능 열풍 속에서 무한정 확장되던 클라우드 인프라에 제동이 걸렸다.

선두주자 마이크로소프트(MS)가 글로벌 데이터센터 프로젝트를 잇따라 취소·연기하면서, 빅테크 전반에 과잉 투자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AI 황금기 속 구조조정 신호… MS의 데이터센터 브레이크가 던진 메시지

[코리안투데이] 스웨덴에 위치한 MS 데이터센터 (출처=MS) ©변아롱 기자

 

 

MS는 최근 인도네시아, 영국, 미국 내 복수 지역 등에서 수십억 달러 규모의 데이터센터 계획을 전면 재조정했다. 가장 주목되는 건 미국 위스콘신 프로젝트다. 6개월간 약 2억6,200만 달러가 투입된 이 시설은 현재 ‘보류’ 상태로 전환됐다. 이미 인프라 공정에 돌입한 현장이 멈춘 셈이다.

 

 

런던에서는 AI 반도체의 핵심 공급처인 엔비디아와의 임대 협상이 중단됐고, 시카고 및 노스다코타 등에서도 신규 부지 매입과 관련된 논의가 멈췄다. 자카르타 외곽에서 추진되던 데이터센터 공사 역시 멈췄다.

 

 

MS는 이 같은 행보를 “입지 전략의 유연성 확보”라 설명했지만, 시장은 다르게 해석 중이다.

TD코웬 등 월가 분석가들은 “MS가 미국과 유럽에서만 약 2기가와트(GW) 규모의 신규 설비를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수요가 기대에 못 미친다는 신호”라고 지적했다.

‘스타게이트’라 불리는 오픈AI와의 차세대 슈퍼컴퓨팅 협력 프로젝트도 사실상 좌초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단지 한 기업의 리밸런싱이 아니다. 글로벌 수준에서 AI 인프라 투자에 대한 첫 구조조정 신호라는 점에서 무게가 다르다. AI 붐 초기, GPU와 서버 인프라 수요는 폭발적이었다. 구글, AWS, 메타, 바이두 등 주요 기업들은 AI 데이터센터 확장에 천문학적 예산을 투입했다. MS 또한 올해에만 약 800억 달러를 인프라 구축에 배정했다.

 

 

그러나 채 1년도 지나지 않아 “공급이 수요를 앞지른다”는 분석이 고개를 들고 있다. AI 모델의 경량화, 소비자의 기대치 변화, 새로운 규제 이슈, 지정학적 리스크(예: 미국-중국 반도체 갈등)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 중이다. 중국 알리바바 그룹의 차이충신 회장도 지난달 “데이터센터는 이미 과잉 상태”라며 거품론을 공개 제기한 바 있다.

 

 

생성형 AI 확산과 함께 급속히 확장되던 인프라 투자 흐름이 점차 조정 국면에 접어드는 분위기다. 마이크로소프트의 행보는 현재 시장의 수요와 공급, 기술 발전 속도, 정책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로 풀이된다. 빅테크 기업들의 다음 행선지가 AI 인프라 산업 전반에 어떤 영향을 줄지는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