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중대 기로…한국 통상·안보 수장 동시 방미 ‘총력전’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집권 가능성이 커지면서 ‘트럼프 관세’ 부활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는 가운데, 한국의 통상 및 안보 수장이 동시에 미국을 방문해 ‘올코트 프레싱’에 나섰다. 양국 간 상호 관세 유예 조치가 불과 8일 후 만료됨에 따라, 한국 정부는 연장을 목표로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이번 방미는 한국의 통상본부장과 안보실장이 동시에 미국을 찾아 핵심 관계자들을 만나는 이례적인 행보다. 통상본부장은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를 만나 실제 관세 유예 연장 방안을 논의하며 통상 현안에 대한 긴밀한 협의를 진행 중이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 시절 부과되었던 철강 등 일부 품목에 대한 관세가 재부과될 경우 한국 산업에 미칠 파장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으로 풀이된다.

 

동행한 안보실장은 이번 협의를 “매우 중요한 국면”으로 평가하며, 향후 한미 정상회담 의제에도 이 문제가 포함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는 경제 안보가 국가 안보의 핵심 요소로 부상하는 현 국제 정세 속에서, 통상 문제가 단순한 경제 이슈를 넘어 양국 동맹 관계의 중요한 부분임을 강조하는 대목이다.

 

한국 정부는 이번 고위급 동시 방미를 통해 미국 차기 행정부의 통상 정책 방향을 사전에 파악하고, 한국 기업들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을 집중하고 있다. 상호 관세 유예 조치의 연장 여부는 한국 주요 산업의 경쟁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글로벌 공급망 안정성에도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코리안투데이] 여한구(오른쪽)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5일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와 악수 © 문성규 기자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도봉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