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탄소중립 실현과 산림재해 대응을 강화하기 위해 본격적인 산림정책 추진에 나선다. 이를 위해 총 2,364억 원을 투입해 탄소흡수원 확대, 산림복지 인프라 구축, 산불 및 산사태 예방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전북자치도는 5일 도청 중회의실에서 시군 산림부서장과 서부지방산림청, 산림조합,한국산불방지기술협회, 임업후계자협회 등 유관기관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5년 산림자원분야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산림정책 추진 방향을 공유하고 도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가치 있는 숲 조성을 위한 협력을 다짐했다.
![]() [코리안투데이] 도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산림자원분야 설명회 © 강정석 기자 |
전북자치도가 추진하는 산림정책의 핵심은 탄소흡수원 확대와 산림복지 인프라 구축이다. 이를 위해 총 2,364억 원을 투입해 ▲산림복지서비스 기반 구축(333억 원)▲산림자원 관리(639억 원) ▲산림재해 대응(668억 원) ▲임업경쟁력 강화(329억 원)▲생활 녹지공간 구축(395억 원)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한다. 특히, 생활권 도시숲과 정원을 조성해 도민 누구나 쉽게 숲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한 지역 특성에 맞춘 맞춤형 나무 심기 및 숲 가꾸기 사업을 통해 산림의 경제적·공익적 가치를 더욱 높인다.
산림재해 예방과 대응 역량 강화도 중요한 과제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대형 산불과 산사태가 빈번해짐에 따라, 산불 초동 진화를 위한 산불임차헬기 3대 운영, 산불 ICT 플랫폼 구축,산불감시원(760명) 및 산불전문예방진화대(658명) 운영을 통해 연중 산불 예방 및 진화에 적극 대응할 예정이다.
또한 산사태 예방을 위해 산사태 현장예방단(42명) 운영을 강화하고, 체계적인 위기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피해를 최소화할 방침이다. 소나무재선충병 확산 저지를 위한 복합방제,산림병해충 예찰방제단(52명)
운영, 드론 및 항공 예찰을 병행해 조기 발견과 피해 확산 방지에도 힘쓴다.
송금현 전북자치도 환경산림국장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산림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며, “산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산림재해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도민 모두가 누릴 수 있는 건강한 숲을
조성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