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청년 인구 유출을 막고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함성패키지 사업’을 본격적으로 확대 추진한다. 이 사업은 청년들이 경제적 부담 없이 취업을 준비하고 안정적으로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돕는 종합 대책으로, 구직·정착·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최근 4년간 전북 지역에서는 3만 4천여 명의 청년(18~39세)이 타 지역으로 유출되었으며, 이로 인해 전주시를 제외한 도내 13개 시·군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되었다. 이에 전북특별자치도는 청년층의 지역 정착을 유도하는 체계적인 지원책을 마련해 청년 친화적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방침이다.
‘함성패키지 사업’은 ‘함께 성공’의 의미를 담아 ▲전북형 청년활력수당 ▲전북청년 지역정착 지원 ▲전북청년 함께 두배적금 등으로 구성됐다.
![]() [코리안투데이] 청년정착, 지방소멸, 함성패키지 리플렛 © 강정석 기자 |
먼저, ‘전북형 청년활력수당’은 미취업 청년들에게 6개월간 매월 50만 원을 지원하는 정책이다. 지원 대상은 만 18세~39세 중위소득 150% 이하 청년 2,000명으로, 지원금은 학원 수강료, 교재비, 면접 준비비 등 구직 활동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직무역량 강화 교육도 함께 제공해 취업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전북청년 지역정착 지원사업’은 중소기업, 농업, 문화예술, 연구소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근무하는 청년들에게 월 30만 원을 1년간 지원하는 제도다. 올해 지원 대상은 3,000명으로 확대되었으며, 지원금은 생활용품, 교통비, 건강관리 등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포인트 형태로 제공된다. 이를 통해 청년들의 재직 유지율을 높이고, 장기적인 지역 정착을 유도할 예정이다.
‘전북청년 함께 두배적금’은 근로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제도다. 18~39세 중위소득 140% 이하 청년이 매월 10만 원을 적립하면, 동일한 금액을 지자체에서 추가 지원한다. 2년 만기 시 약 5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으며, 금융 및 재무 컨설팅 교육도 제공해 청년들의 자산 관리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전북특별자치도는 지난해 함성패키지 사업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북형 청년활력수당’ 참여자의 93.1%가 추천 의사가 있다고 응답했으며, ‘전북청년 지역정착 지원사업’은 재직 유지에 도움이 된다는 응답이 95.1%에 달했다. 또한, ‘전북청년 함께 두배적금’은 도내 거주 유지에 도움이 된다는 응답이 90.4%, 만족도는 96.7%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는 올해도 청년들의 의견을 반영해 사업을 개선하고, 실질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방침이다. 현재 ‘전북청년 지역정착 지원사업’은 대상자 선정 단계에 있으며, ‘전북형 청년활력수당’은 이달 말까지 신청을 받는다. 또한, ‘전북청년 함께 두배적금’은 3월 초 모집 공고를 통해 신규 참여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천영평 전북자치도 기획조정실장은 “전북의 미래는 청년들에게 달려 있다”며 “청년들이 지역에서 꿈을 이루고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 ‘청년이 살고 싶은 전북’을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