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는 사동·사이동 지역 주민들의 주차난 해소와 문화·체육 인프라 확충이라는 두 가지 핵심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진하는 ‘감골운동장 복합화시설 조성사업’ 공사에 본격 착수하고, 지난 24일 기공식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복합화시설 조성사업은 총 207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대규모 도시 재생 프로젝트로, 지역 주민들의 오랜 숙원 사업을 해소하고 안산시의 도시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릴 기반 시설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약 18개월간의 공사 기간을 거쳐 오는 2027년 2월 준공을 목표로, 시민들의 생활 편의와 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할 복합 생활 공간이 탄생할 예정이다.
![]() [코리안투데이] 안산시, 207억 규모 ‘감골운동장 복합화시설’ 기공식 개최 © 임서진 기자 |
감골운동장 복합화시설 조성사업의 핵심 목적은 사동과 사이동 일대의 고질적인 주차난 해소와 친환경 생활 체육 인프라 확보이다. 주택 밀집 지역인 이들 지역은 주차 공간 부족으로 인해 주민들이 일상생활에서 큰 불편을 겪어왔으며, 이는 곧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안산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 운동장의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복합화 방식을 채택했다.
이 사업은 단순한 시설 건립을 넘어, 주차장 확보와 더불어 시민들이 쉽게 접근하여 건강을 증진하고 여가 활동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을 함께 제공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복합화시설이 완공되면 주차 문제로 인한 주민 갈등을 완화하고, 생활 체육 활동을 통한 건강한 공동체 문화를 조성하는 데 기여하여 지역사회의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안산시는 해당 시설이 곧 사동·사이동 지역 주민들의 일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도시 재생의 성공적인 사례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사동 1342번지 일원에 들어설 이 복합화시설은 전체 면적 1만5,856㎡ 규모로, 공간의 효율성과 주민들의 편의를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시설의 가장 큰 특징은 지하 공간을 활용한 주차장 확보이다. 지하 1층에는 5,571㎡ 면적에 총 143면의 부설 주차장이 조성되어, 주변 주택가 주민들의 주차 편의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예정이다. 지하 주차장의 도입은 지상 공간을 온전히 시민들의 여가와 체육 활동 공간으로 돌려줄 수 있게 한다.
지상부에는 지역 주민들이 가장 선호하는 시설인 인조 잔디 축구장이 새로이 깔끔하게 정비된다. 또한, 안전하고 쾌적하게 조깅이나 산책을 즐길 수 있는 조깅 트랙 등 다양한 주민 친화형 체육 시설도 함께 갖춰질 예정이다.
이 시설들은 최신 규격과 안전 기준에 맞게 조성되어, 어린 아이들부터 고령층까지 전 연령대가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낮에는 체육 활동을, 밤에는 넉넉한 주차 공간을 제공하는 감골운동장 복합화시설은 명실상부한 지역 복합 생활 공간의 거점으로 기능하게 된다.
감골운동장 복합화시설 조성사업에는 총 207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며, 이 중 국비 8억 원, 도비 10억 원이 확보되었고, 안산시가 189억 원을 투자하여 시의 강력한 사업 추진 의지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대규모 투자는 시설의 품질과 완성도를 높이는 기반이 될 것이다. 약 1년 6개월간의 공사 기간 동안 시는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여, 2027년 2월 목표 준공을 위해 행정력을 집중할 계획이다.
이민근 안산시장은 기공식에서 “복합화시설이 완공되면 지역 주민들의 주차 편의와 여가 활동 공간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시민들이 체감하는 삶의 질이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이 시장은 또한 “단순히 시설물을 짓는 것을 넘어, 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함께 안산시의 도시 경쟁력 제고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내실 있게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강한 의지를 밝혔다. 감골운동장 복합화시설은 앞으로 안산시가 지향하는 ‘시민 중심의 복합 도시 공간’ 조성의 핵심 모델이 되어, 도시 재생과 시민 복지 향상의 이정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