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면규 컬럼 © |
“가치가 사라진 사회”에 대한 개념은 사회적, 도덕적, 문화적 가치가 약화되거나 소멸된 상태를 의미하고, 이는 다양한 사회적 변화와 관련이 있지 않나 싶다.
특히, 가치가 사라진 사회가 초래하게 되는 위험성은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나는데, 이는 개인의 삶과 공동체의 건강, 그리고 사회 전체의 안정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해서, 주요 위험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1. 도덕적 해이와 범죄 증가
– 도덕적 가치가 사라지면 개인과 집단은 윤리적 기준을 무시하거나 경시하게 된다. 이는 부정부패, 범죄율 증가, 사회적 무질서로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법과 규범을 준수하지 않거나,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동이 늘어날 수 있다. 주먹이 법을 우선하는 끔찍한 사회로 어어질 수도 있다.
2. 사회적 유대 약화와 고립
– 가치의 상실은 공동체 의식의 약화로 이어진다. 이는 개인주의와 이기주의를 강화시키며, 사람들 사이에 신뢰와 협력이 감소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사회적 고립감과 외로움이 증가하고, 사회적 연대와 상호 지원이 약화된다.
3. 정신적 및 정서적 건강 문제
– 가치 상실은 정신적, 정서적 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사람들이 삶의 목적과 의미를 찾기 어려워 지고, 이는 우울증과 불안, 스트레스와 같은 정신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윤리적 혼란으로 인해 자존감이 낮아지고, 삶의 만족도가 감소할 수도 있다.
4. 경제적 불평등 심화
– 물질주의와 경제적 가치의 우선시로 인해 사회적 불평등이 심화될 수 있다. 경제적 격차가 커지면 사회적 갈등과 긴장이 증가하며, 이는 사회의 안정성을 위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유층과 빈곤층 간의 갈등이 커지고, 사회적 이동성이 감소할 수 있다.
5. 환경 문제
– 윤리적 가치와 책임감이 부족하면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 수 있다. 이는 환경 파괴, 자원 고갈, 기후 변화 등의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다. 인간 중심적 사고로 인해 자연과의 공존이 어려워질 수 있다.
6. 정치적 불안정
– 가치 상실은 정치적 불안정과도 연결될 수 있다. 도덕적 기준이 약화되면 정치 지도자들에 대한 신뢰가 떨어지고, 이는 정치 체제의 안정성을 위협한다. 부정부패, 불투명한 의사결정 과정, 정치적 극단주의 등이 나타날 수 있다.
7. 교육의 질 저하
– 교육 시스템에서 가치 교육이 약화되면, 학생들은 도덕적, 윤리적 기준을 배우기 어려워진다. 이는 미래 세대가 가치관이 부족한 상태로 성장하게 되며, 사회 전체의 도덕적 수준을 낮추게 된다.
이러한 위험성들은 서로 얽히고설켜 있으며, “가치가 사라진 사회”는 단순히 한 가지 문제가 아니라 여러 가지 복합적인 문제들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가치가 사라진 사회에서의 인간다운 삶, 공동체적 연대, 도덕적 기준 등의 회복에 대해 특히 중요하게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아울러,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인, 공동체, 사회 전체가 함께 노력하여 윤리적, 도덕적, 문화적 가치를 회복하고 강화하는 것을 무엇보다 우선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