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하수처리시설 신·증설 속도…쾌적한 생활환경 조성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가 깨끗한 수질 확보와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을 위해 하수처리시설 신·증설에 속도를 내고 있다. 벽제수질복원센터는 하수처리 용량을 확대하고 지하화해 주민친화시설로 조성하며, 일산수질복원센터는 시설 개량을 통해 처리 성능을 개선한다. 또한 창릉신도시, 대곡역세권, 노후 계획도시 정비사업과 연계한 새로운 하수처리시설 구축도 검토하고 있다.

 

고양시, 하수처리시설 신·증설 속도…쾌적한 생활환경 조성

 [코리안투데이]  고양시, 하수처리시설 신·증설 속도…쾌적한 생활환경 조성  © 지승주 기자

하수처리시설은 생활하수를 정화해 하천으로 돌려보내는 환경기초시설로, 오염 방지와 시민 건강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고양시는 벽제수질복원센터 증설과 일산수질복원센터 개량을 포함한 하수처리 인프라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벽제수질복원센터, 지하화 및 하수처리 용량 확대

2007년 준공된 벽제수질복원센터는 시설 노후화와 하수 유입량 증가로 가동률이 94%에 달하며 운영이 어려운 상태다. 특히 지난해 여름 폭염으로 기중차단기가 과열되면서 화재가 발생해 일시적으로 가동이 중단되기도 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시는 현재 1일 39,200톤의 처리 용량을 48,200톤으로 확대하는 증설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총 460억 원이 투입되며, 국·도비 80억 원과 민간투자비 180억 원을 포함한 ‘손익공유형 민간투자사업(BTO-a)’ 방식으로 진행된다.

 

또한 벽제수질복원센터를 전면 지하화해 악취를 차단하고, 상부 공간을 주민 친화적 휴식공간으로 조성해 주거환경을 개선할 계획이다. 아울러 상반기 중 수질복원센터의 고압 전기시설물 전체에 자동소화설비장치를 설치해 화재 예방에도 나선다.

 

일산수질복원센터 개량…노후 시설 성능 개선

고양시 전체 하수의 약 60%를 처리하는 일산수질복원센터는 1993년 준공 이후 시설이 노후화됐으며, 유입 하수의 고농도화로 인해 초기 설계 용량인 1일 27만 톤에서 23만 2,000톤으로 처리 능력이 저하됐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시는 총 3단계에 걸쳐 시설 개량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1단계로 슬러지(침전물) 및 수처리시설 개선 공사가 지난해 시작됐으며, 현재 27%의 공정률을 보이며 내년 준공을 목표로 진행 중이다. 이후 2·3단계 사업을 통해 송풍기·농축기 증설 및 펌프 개량 등을 추진해 하수처리 효율을 더욱 높일 예정이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일산테크노밸리와 고양방송영상밸리 개발로 증가하는 고농도 하수 유입에도 안정적인 처리가 가능해지고, 운영비 절감 등의 효과도 기대된다.

 

신규 하수처리시설 구축 적극 검토

현재 고양시는 일산, 벽제, 원능, 삼송 4개 공공하수처리시설을 운영하며 하루 42만 1,200톤의 하수를 처리하고 있다. 하지만 도시개발에 따른 인구 증가와 하수처리 수요를 감안해 신규 시설 구축도 검토 중이다.

 

특히 2027년 첫 입주가 시작되는 창릉신도시에는 LH와 협력해 완전 지하화된 창릉수질복원센터를 건설하고, 주민 친화시설도 조성할 예정이다. 또한 대곡역세권 개발, 일산신도시 정비 등 주요 도시 프로젝트와 연계한 하수처리시설 신·증설 방안을 관련 기관과 함께 논의해 실효성 높은 계획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기존 하수처리시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일산테크노밸리와 창릉신도시 등 도시개발에 대비한 하수처리시설 신·증설을 신속히 추진하겠다”며 “이를 통해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더욱 쾌적하고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