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인 라벨 읽는 법: 병 속 정보의 비밀을 풀다

 

마트나 와인숍에서 와인을 고르다가, 병에 붙은 라벨을 보고 망설여본 경험이 한 번쯤은 있을 것이다. “이게 도대체 무슨 말이지?” “이건 단 와인일까, 드라이한 걸까?” “빈티지라는 건 뭘까?” 와인 라벨은 단순한 디자인이 아닌, 와인의 정체성과 품질 정보를 담고 있는 작은 설명서다.

이 칼럼에서는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와인 라벨에 적힌 정보를 하나씩 해석해본다.

 

 [코리안투데이]  “Cabernet Sauvignon 2020”은 무슨 뜻일까?© 김현수 기자

 

1. 포도 품종 (Grape Variety)
와인 라벨에는 대부분 사용된 포도 품종이 표기되어 있다. 예: Cabernet Sauvignon, Merlot, Chardonnay 등.
품종에 따라 맛과 향, 바디감이 달라지기 때문에, 본인의 취향에 맞는 품종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2. 빈티지 (Vintage)
수확 연도를 의미한다. 예: 2020, 2018, 2015 등.
좋은 빈티지는 기후가 안정적이고 포도 수확 상태가 좋았던 해를 뜻하며, 와인의 숙성 정도와 음용 시기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3. 생산지 (Region)
와인이 어디서 생산되었는지를 나타낸다.
예: Bordeaux, Napa Valley, Mendoza, Tuscany 등.
생산지는 와인의 스타일과 품질에 큰 영향을 준다. 프랑스, 이탈리아, 미국, 칠레, 호주 등 각 나라와 지역의 특성을 알면 와인 선택이 쉬워진다.

 

4. 알코올 도수 (Alcohol by Volume, ABV)
와인의 강도를 나타낸다. 보통 11%~15% 사이이며, 도수가 높을수록 바디감이 강하고 무게감 있는 와인일 가능성이 높다.
내추럴 와인처럼 낮은 도수(10도 내외)인 와인도 존재한다.

 

5. 와인 종류 (Type / Style)
예: Red Wine, White Wine, Rosé, Sparkling, Dessert 등.
스파클링인지, 달콤한 디저트 와인인지, 혹은 드라이한 화이트 와인인지에 따라 음식과의 페어링이 달라지므로 중요한 정보다.

 

6. 기타 정보

  • “Estate Bottled”: 재배부터 병입까지 자체적으로 수행한 와이너리 제품.

  • “Reserve” / “Gran Reserva”: 보통 더 오래 숙성되었거나, 품질이 뛰어난 제품.

  • “Organic” / “Biodynamic”: 유기농 인증 여부를 나타냄.

  • 당도 표시: Sweet, Semi-Sweet, Dry 등으로 와인의 단맛 정도를 표시.

 

결론적으로, 와인 라벨은 그냥 넘기기엔 너무 중요한 정보다. 조금만 이해하면, 자신의 취향에 맞는 와인을 고르는 데 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와인 자체에 대한 이해와 즐거움이 배가된다.

 

다음 칼럼에서는 실제 라벨 이미지를 바탕으로 직접 해석하는 연습을 진행해볼 예정이다. 와인 선택의 자신감을 키워보자!

 

 

성동구, 어르신 낙상 예방 ‘건강 증진 교실’ 운영… 체계적 운동으로 건강한 노년 지원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강북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