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겨울은 기상청 예보에 따르면 잦은 폭설과 강력한 한파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철저한 대비가 요구된다. 급격히 낮아지는 기온과 갑작스러운 눈 폭탄은 시민들의 일상에 큰 불편을 줄 뿐 아니라, 사고와 건강 문제를 유발할 위험이 크다. 겨울철을 안전하고 건강하게 보내기 위한 필수 대비 수칙을 알아보자.
겨울철 첫 번째 안전수칙은 폭설 대비다. 눈이 내리기 전 차량에 체인, 제설용 삽, 염화칼슘을 미리 준비해야 한다. 특히 도로 결빙 사고를 방지하려면 차량 타이어 상태를 점검하고 겨울용 타이어로 교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집 앞이나 상가 주변 보도에 염화칼슘을 뿌려 미끄럼 사고를 예방하는 것도 중요하다.
![]() [코리안투데이] 출처 – YTN 초강력 추위 12월부터 © 박정희 기자 |
또한 한파 속 건강 관리에도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 체온 유지를 위해 내복, 목도리, 장갑 등 방한용품을 착용하고 외출 시 보온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 특히 노약자나 만성질환자는 실내 온도를 18~22도로 유지하며, 난방 기기를 사용할 때는 과열과 화재 위험을 주의해야 한다. 건조한 실내 환경을 예방하기 위해 가습기를 사용하거나 젖은 수건을 걸어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폭설로 인해 정전이나 단수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대비해야 한다. 비상용품으로 손전등, 보조배터리, 간편식, 물 등을 준비하고, 가족 간의 비상연락망을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 재난 문자 서비스를 확인하며, 눈길이나 빙판길에서는 이동을 최소화하고 꼭 필요한 경우 대중교통을 이용하도록 한다.
![]() [코리안투데이] 올겨울 날씨는 냉 온탕 © 박정희 기자 |
가스와 화재 사고 예방도 중요하다. 난방 기기를 사용할 때는 환기를 자주 시켜 가스 중독을 방지하고,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해 전기선 상태를 점검하며 과부하를 막아야 한다. 또 화재 경보기와 소화기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고, 화재 시 대피 요령을 숙지해 두는 것이 필요하다.
이 밖에도 동파 방지를 위해 수도관에 보온재를 감싸고, 외출 시에는 수도를 약간 틀어 물이 흐르도록 유지해야 한다. 차량 연료는 항상 절반 이상 채워둬 비상 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며, 혹한기 장시간 운전은 피하는 것이 좋다.
![]() [코리안투데이] 11월 폭설 사진 © 박정희 기자 |
겨울철 재난과 한파는 단순한 불편을 넘어 생명과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번 겨울에는 미리 대비하고 실천하여 나와 가족, 지역사회의 안전을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준비하는 자만이 안전하다”는 말을 기억하며 올겨울을 건강하고 안전하게 보내도록 하자.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