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시(시장 이현재)가 2025년부터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치매 감별검사 비용을 지원하고, 치매 치료관리비 지원 대상도 중위소득 120% 이하에서 140% 이하로 확대한다. 이는 비용부담으로 검진을 미루거나 받지 못하는 경우를 줄이고, 치매 환자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다.
![]() [코리안투데이] 하남시 치매안심센터에서는 선별검사와 진단검사를 무료로 받을 수 있다. © 백창희 기자  | 
하남시 치매안심센터에서는 선별검사와 진단검사를 무료로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치매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전문 의료기관에서 시행하는 감별검사의 경우 비용이 발생한다. 기존에는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가구만 일부 비용을 지원받았으나, 이보다 소득이 높은 경우 지원이 불가능했다.
이번 조치로 감별검사가 필요한 시민은 치매안심센터를 통해 협력병원에서 뇌 영상 촬영과 혈액 검사 등을 받을 수 있으며, 검사비는 최대 8만원까지 지원된다. 다만, 국가유공자와 장애인의료지원 대상자는 중복 지원으로 제외된다.
치매 치료관리비 지원도 확대된다. 치매 진단을 받은 후 중위소득 140%* 이하 기준을 충족하면 월 최대 3만원까지 진료비와 약제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참고자료] 기준 중위소득 140% 치매 치료관리비 건강보험료(단위: 원)
| 
 가구원 수  |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 
 직장가입자  | 
 118,821  | 
 196,177  | 
 252,203  | 
 311,031  | 
 354,964  | 
 407,092  | 
| 
 (134,208)  | 
 (221,582)  | 
 (284,863)  | 
 (351,310)  | 
 (400,932)  | 
 (459,810)  | 
|
| 
 지역가입자  | 
 46,072  | 
 133,680  | 
 196,416  | 
 269,976  | 
 320,449  | 
 382,076  | 
| 
 (52,038)  | 
 (150,992)  | 
 (221,852)  | 
 (304,938)  | 
 (361,947)  | 
 (431,555)  | 
※ ( ) 안의 금액은 장기요양보험료 합산 금액임
박강용 하남시보건소장은 “2025년부터 경기도 치매 케어 패키지의 일환으로 치매감별검사비 및 치료비 지원을 확대해, 치매 환자가 적절한 시기에 진단과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보호자의 돌봄 부담도 줄어들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하남시 치매안심센터는 치매 예방교육과 인지 강화 프로그램 등 다양한 지원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치매안심센터(☎031-790-6254)로 문의하면 된다.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