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특례시, ‘국가 초순수 플랫폼센터’ 유치에 공동 대응

용인특례시, ‘국가 초순수 플랫폼센터’ 유치에 공동 대응

 

용인특례시(시장 이상일)는 15일 반도체 생산에 필수 물질인 초순수를 연구할 ‘국가 초순수 플랫폼센터’를 유치하기 위해 명지대학교,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과 공동 대응을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용인특례시가 반도체 중심도시로서 국내 반도체 산업 경쟁력 확보와 시너지 극대화를 위해 추진되었다.

 

 [코리안투데이] 용인특례시는 ‘국가 초순수 플랫폼센터’를 유치하기 위해 명지대학교,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과 공동 대응을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을 체결 ©김나연 기자

 

협약식은 시장 접견실에서 진행되었으며, 이상일 용인특례시장, 유병진 명지대학교 총장, 김혜애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장 등 관계자 15명이 참석했다.

 

초순수는 반도체 웨이퍼 세정이나 신약 개발 등에 사용되며, 고난도 수처리 기술을 필요로 하여 그동안 생산기술을 해외에 의존해 왔다. 환경부는 초순수 생산기술의 국산화를 위해 기술 개발과 전문인력 양성, 기업 지원을 통한 반도체 산업 육성, 국내 초순수 산업 육성 기반 확보가 가능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지난 6월 24일 입지 후보지 공모를 시작했다.

 

용인시는 반도체 산업 경쟁력과 생태계를 강화하기 위해 ‘국가 초순수 플랫폼센터’ 후보지로 이동읍 제2용인테크노밸리 산업단지 일부를 제출했다. 이 지역은 이동·남사읍에 추진 중인 첨단시스템 반도체클러스터 국가산단과 2km, 원삼에 조성 중인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와 10km 떨어져 있어, 초순수 생산에 따른 반도체 제조업의 연계성과 접근성 면에서 최적의 위치로 평가된다.

 

시는 초순수 생산에 필요한 용수를 풍부한 자연환경을 활용해 지방상수원과 하천수를 이용하여 공급함으로써 원가 절약을 목표로 하며, 전력은 한국전력공사와 협의를 통해 추가 공급할 계획이다.

 

국가 초순수 플랫폼센터 건립을 위한 최상의 입지를 제시한 용인특례시는 빠르게 사업이 추진되도록 명지대학교와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용인특례시는 경기도산업단지계획 심의 등의 행정절차를 지원하고, 명지대학교는 초순수 연구개발 생태계 구축과 관련 인력 양성을 지원하며,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은 물 산업 관련 기업을 발굴하고 지원할 예정이다.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은 “용인은 첨단 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와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 삼성미래연구단지를 조성 중인데 이 모든 프로젝트가 끝나면 단일도시로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생태계를 갖추게 될 것”이라며 “초순수는 반도체의 생명수라고 불릴 만큼 중요한 물질로, 용인의 반도체 생태계를 확장하기 위해 명지대학교,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과 협력해 ‘국가 초순수 플랫폼센터’를 유치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에는 국내 물 산업 관련 기업 30%가 있으며, 이들 대부분이 용인특례시와 수원특례시에 위치하고 있다.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금산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