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움 필요할 땐 빨간우체통으로”… 영등포구, 맞춤형 복지지원 강화

 

영등포구(구청장 최호권)가 구민이 ‘빨간우체통’을 통해 전한 위기 사연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고, 이를 ‘영등포형 통합사례관리’ 체계와 연계해 맞춤형 복지 지원을 한층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도움이 필요하지만 직접 요청하기 어려운 주민들을 위한 복지 창구로서, 복지사각지대를 발굴하고 위기 가구를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둔 제도이다. 

 

구는 현재 관내 18개 동주민센터와 서울남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실물 빨간우체통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더불어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채널을 활용한 모바일 우체통도 상시 운영하며 접근성을 높였다. 특히 고시원, 옥탑방, 반지하 등 주거 취약 지역에는 안내문과 우편 봉투를 배포하여 서면 접수도 병행하며, 온·오프라인을 아우르는 복지사각지대 발굴에 힘쓰고 있다.  

 

 [코리안투데이] 빨간우체통 설치 모습. 사진=영등포구 제공

 

올해부터는 ‘영등포형 통합사례관리’ 체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복합 위기 상황이 확인된 사연은 심층 상담으로 연계되며, 개별 상황에 맞는 맞춤형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지난 3월, 모바일 빨간우체통으로 접수된 50대 1인 가구의 사연은 소득 단절, 건강 악화, 채무 독촉으로 인한 극심한 정신적 고통을 담고 있었다. 구는 모바일 상담을 통해 다중 위기 상황을 파악하고 즉시 통합 사례 관리 대상으로 선정했다. 이 가구에는 긴급 지원 및 기초생활보장 신청, 금융 복지 상담 센터 동행 상담, 정신 건강 복지 센터 연계 등 다각도의 맞춤 지원이 신속하게 진행되었다. 

 

이와 함께 구는 지난 5월, 지역 주민 51명으로 구성된 ‘영리한 살핌단’을 출범시켰다. 이는 복지사각지대를 조기에 발굴하고 위기 가구에 신속히 복지 서비스를 연계하는 활동을 펼치고 있다. 최호권 영등포구청장은 “빨간우체통은 단순한 제보 창구가 아닌 주민의 위기를 함께 살피고 필요한 지원을 연결하는 복지의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도 구민의 작은 목소리에도 세심하게 귀 기울이며 대상별 맞춤 복지 지원 체계를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라고 덧붙였다. 도움이 필요한 주민은 동주민센터 또는 구청 복지정책과를 방문하거나 빨간우체통을 통해 언제든 상담을 요청할 수 있다. 문의는 복지정책과 희망복지팀 (2670-3984)으로 하면 된다.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김포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