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시,모바일 주민등록증, 2월 14일부터 본격 발급 시작

Photo of author

By 코리안투데이 고창

 

지난해 12월 시범 운영된 모바일 주민등록증이 2월 14일부터 정식 발급을 시작한다. 17세 이상 시민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3월 28일부터는 전국 어디서나 발급이 가능하다. QR코드 방식과 IC주민등록증 방식 중 선택할 수 있으며, IC주민등록증은 휴대전화 변경 시에도 재발급이 필요 없다. 정부는 보안성을 강화하고 이용자의 편의를 높이기 위해 3년마다 재발급을 요구하며, 향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계획이다.

 

원주시,모바일 주민등록증, 2월 14일부터 본격 발급 시작

[코리안투데이]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안내  © 이선영 기자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기존 실물 주민등록증의 기능을 스마트폰에 구현한 것으로, QR코드 방식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해 1회용 QR코드를 촬영하는 방법으로, 신청 즉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휴대전화를 교체하거나 실물 주민등록증을 분실하면 재발급을 위해 행정복지센터를 다시 방문해야 한다.

 

IC주민등록증 방식은 기존 주민등록증을 IC칩이 내장된 새로운 주민등록증으로 교체한 뒤, 개인 휴대전화 뒷면에 접촉해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활성화하는 방법이다. 이 방식은 QR코드 방식과 달리, 휴대전화를 변경해도 별도의 재발급 절차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IC칩(5,000원)과 실물 주민등록증 재발급 비용(5,000원)을 포함해 총 1만 원의 비용이 발생한다. 하지만 주민등록증을 처음 발급받는 경우 IC주민등록증 발급을 희망하면 무료로 신청할 수 있다.

 

정부는 보안성과 편의성을 고려해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본인 명의 스마트폰 한 대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했으며, 최신 보안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3년마다 재발급받아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이는 개인정보 보호와 보안 강화를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시 관계자는 “디지털 시대에 맞춰 원주시가 시민들의 편의를 높이기 위해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도입했다.”라며, “앞으로도 혁신적인 행정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모바일 주민등록증 도입은 디지털 전환 시대에 발맞춘 변화로, 신분증 분실 위험을 줄이고 실물 주민등록증이 필요 없는 사회로 가는 첫걸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향후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공공기관, 금융권, 민간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분증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기관과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교통 신호 체계 비교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