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와인 애호가들 사이에서 자주 들리는 말, 바로 ‘내추럴 와인’이다. 와인 샵이나 레스토랑에서도 “이건 내추럴 와인이에요”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된다. 하지만 내추럴 와인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고, 일반적으로 알려진 ‘컨벤셔널 와인’과 어떻게 다른지는 명확히 이해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 |
간단히 말해, **내추럴 와인(Natural Wine)**은 첨가물을 넣지 않고 천연 효모로 자연 발효시킨 와인을 말한다. 포도 수확부터 병입까지 인위적인 개입을 최소화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제초제나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인공 효모, 황산염(방부제) 등을 가능한 한 배제하며, 포도의 본연의 맛을 살리는 데 집중한다. 내추럴 와인은 그래서 와인의 ‘자연미(natural beauty)’를 경험할 수 있는 선택지로 여겨진다.
반면, **컨벤셔널 와인(Conventional Wine)**은 일정한 품질과 안정성을 위해 인공 효모나 첨가물 등을 사용하는 전통적인 방식의 와인이다. 포도 재배 과정에서 화학적 비료나 농약이 사용되기도 하며, 발효와 숙성에서도 사람의 개입이 더 많다. 이를 통해 와인의 맛을 조정하고, 시장의 다양한 기호에 맞춘 제품을 만들 수 있다. 흔히 마트나 와인 바에서 접하는 대다수 와인이 이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내추럴 와인은 종종 맛이 거칠고, 색이 탁하며, 병마다 맛이 다를 수 있다. 오히려 이 점이 ‘자연의 개성’으로 받아들여지며, 내추럴 와인만의 매력으로 작용한다. 반면 컨벤셔널 와인은 깔끔하고 일관된 맛, 안정적인 품질을 자랑하며, 와인 초보자에게는 접근성이 더 좋다.
이 둘 중 무엇이 더 ‘좋은 와인’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내추럴 와인은 철학과 자연주의에 가까운 와인, 컨벤셔널 와인은 기술과 전통이 어우러진 안정적인 와인이라 할 수 있다. 선택은 개인의 가치관과 취향에 따라 다르며, 와인의 세계를 더 넓게 탐험하고자 한다면 두 방식 모두 경험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다음 칼럼에서는 발효 방식의 차이, 즉 ‘중간 발효법 vs 완전 발효법’에 대해 이야기해볼 예정이다. 와인의 단맛과 도수를 결정짓는 중요한 과정이니, 궁금하다면 다음 편도 꼭 확인해보시길.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