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 대응, 인공지능 기술이 최전선에 선다

Photo of author

By 코리안투데이 고려

 

 

보이스피싱 범죄에 맞서 인공지능(AI) 기술이 본격적으로 최전선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8 8일 이동통신 3사와 함께 ‘AI 기반 보이스피싱 대응 현장 간담회를 열고, 성문 분석·딥보이스 탐지 등 최신 기술을 적용한 피해 예방 전략을 논의했다.

 

 [코리안투데이] AI 기반 보이스피싱 대응 현장 간담회 관련 홍보이미지     ©송정숙 기자

 

과기정통부와 민간 기업들은 보이스피싱이 점차 지능화·전문화되는 상황에서 단순 사후 대응을 넘어 범죄 발생 전 단계에서 차단하는 체계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실제 범죄 통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실시간 탐지 기술과, 통화 전··후 단계별 대응 시스템이 소개됐다.

 

KT는 국내 최초로 ‘3중 차단방식을 도입해 통화 전 피싱 의심번호를 사전 탐지하고, 통화 중 문맥 분석·화자 인식·딥보이스 탐지를 병행하며, 통화 후에는 금융거래 차단까지 연계한다. SK텔레콤은 자체 AI 보안 기술 스캠뱅가드(ScamVanguard)’를 중심으로 미끼문자 탐지, 보이스피싱 의심 안내, 향후 딥보이스 탐지 서비스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익시오(ixi-O) 앱을 통해 실시간 경고 알림과 악성 앱 감염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며, 통화 전··후 탐지 기능을 고도화한다.

 

 [코리안투데이] 이동통신사 보이스피싱 대응 현황 및계획   © 송정숙 기자

 

정부는 이러한 민간 기술 발전을 뒷받침하기 위해 ICT 규제샌드박스 제도를 활용, 개인정보보호법 해석과 법령 개정을 통해 공익적 목적의 AI 서비스가 양질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보유한 범죄 데이터를 비식별화하여 민간 기술 개발에 제공하고, 인공지능 기반 범죄 분석 기술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할 계획이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보이스피싱과 같은 디지털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선 민·관 협력과 AI 기술의 적극적 활용이 필수라며 데이터 공유와 활용 기반을 마련해 사기전화 범죄를 근절하고 국민 피해를 실질적으로 줄일 것이라고 밝혔다.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정책브리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송정숙 기자: gangseo@thekoreantoday.com]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고려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