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서별빛우주과학관, ‘오로라 그리고 태양’ 특별기획전 개최

 

서울 강서구가 과학의 달 4월과 어린이날이 포함된 5월을 맞아, 온 가족이 함께 우주의 신비를 체험할 수 있는 특별한 시간을 마련했다. 강서구(구청장 진교훈) 2023년 개관한 강서별빛우주과학관에서 오는 4 19일부터 5 6일까지 약 한 달간 <오로라, 그리고 태양> 특별기획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기획전은 어린이와 가족들이 천문학에 흥미를 갖고 우주와 자연현상에 대한 과학적 호기심을 키울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체험형 교육 프로그램과 천체관측, 전문가 특강 등 다채로운 콘텐츠로 구성돼 있다. 특히 각 프로그램은 미취학 아동부터 초등학생, 학부모까지 모두가 함께 즐길 수 있도록 맞춤형으로 준비된 점이 눈에 띈다.

 

 [코리안투데이] 강서별빛우주과학관 포스터  © 송정숙 기자

 

먼저, 오는 4 19일에는나는야 우주아티스트! – 나만의 오로라를 만들어봐요!’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보호자를 동반한 미취학 아동 40명을 대상으로 하며, 어린이들이 직접 오로라의 빛을 표현하고 꾸미는 미술 체험 활동을 통해 천체 현상에 대한 상상력을 키울 수 있다. 참가비는 5,000원이다.

 

이어 5 5일 어린이날에는나도 천문학자 될래요! – 태양을 관측해보고 나만의 태양을 만들어요!’ 프로그램이 펼쳐진다. 이 프로그램은 마찬가지로 미취학 아동과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며, 아이들이 태양을 실제로 관측한 뒤 각자의 창의력으로나만의 태양을 만들어보는 활동이다. 과학적 관찰력과 창의적 표현 능력을 동시에 키우는 교육 효과가 기대된다.

 

5 6일에는 체험 교육이 더 다양해진다. 미취학 아동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미니로켓 만들기앙부일구 만들기체험이 각각 열린다. ‘미니로켓 만들기는 아이들이 직접 간단한 원리로 로켓을 제작하고 발사하는 경험을 통해 과학의 원리를 실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앙부일구 만들기는 우리 전통 해시계를 직접 제작하며 천문학의 역사와 원리를 배우는 뜻깊은 시간이 될 것이다. 두 프로그램 모두 체험비는 2,000원이며, 각 프로그램 당 40명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특별전의 하이라이트는 5 4일 진행되는 전문가 특강이다. ‘별 박사로 유명한 천문학자 이태형 박사가 직접 강연자로 나서태양을 탐험하는 시간을 주제로 강의를 펼친다. 초등학생 이상을 대상으로 하며, 일식과 월식 등 태양 관련 천문 현상을 돔 영상으로 함께 시청할 수 있는 실감형 특강으로 마련된다. 강의 정원은 60, 참가비는 5,000원이다.

 

특별기획전의 모든 프로그램은 사전 신청을 통해 참여할 수 있으며, 강서별빛우주과학관 누리집에서 접수할 수 있다. 관람객들은 프로그램 참여 외에도 상설 전시와 함께 천체관측 장비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별빛우주과학관의 다양한 시설을 함께 즐길 수 있다.

 

2023 11월 개관한 강서별빛우주과학관은 서울 서남권 최초의 천문 교육 및 체험 전문 과학관으로, 천체관측실, 교육실, 전시관 등을 갖춘 복합 공간이다. 개관 이후 어린이와 청소년, 지역 주민들에게 큰 호응을 얻으며 강서구의 대표적인 과학문화 명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심재현 강서별빛우주과학관장은과학의 달과 어린이날을 맞아 우주에 관심 있는 어린이들을 위해 <오로라, 그리고 태양> 특별기획전을 준비했다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어린이들이 자연과 우주의 경이로움을 체험하고, 과학에 대한 꿈을 키워가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번 기획전은 단순한 전시나 일회성 이벤트를 넘어, 어린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과학문화 콘텐츠의 모범 사례로 평가받을 수 있다. 특히 보호자와 함께 체험할 수 있는 가족 중심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다는 점은 교육 효과를 높이고, 세대 간 공감의 장을 넓히는 데도 큰 의미를 더한다.

 

강서구는 앞으로도 과학문화 확산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오로라, 그리고 태양> 기획전이 그 출발점으로서, 지역 사회의 과학 소통 공간으로 별빛우주과학관의 위상을 한층 더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프로그램 및 기타 문의는 강서별빛우주과학관(☎02-2661-3346)으로 하면 된다.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