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인구 감소와 지역 소멸 위기가 심화되는 가운데, 충남 천안시의 총인구가 지난해 5년 만에 최대 폭으로 증가하며 70만 명 돌파를 앞두고 있다.
천안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외국인을 포함한 총인구는 69만 7,299명으로, 전년 대비 7,219명(1.05%) 증가했다. 이는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 인원(2,926명)의 2.4배에 달하는 수치로, 인구 증가 속도가 가속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 [코리안투데이] 천안시 2020~2024년 인구변동 추이 그래프. © 신기순 기자 |
천안시는 이러한 인구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 ▲산업단지 조성과 기업 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 ▲청년층을 위한 정주 여건 개선 ▲외국인 근로자 유입 증가 ▲대학 유학생 및 장기 거주자의 정착 확대 등을 꼽았다.
특히, 천안시는 ‘생활인구 200만 시대’를 목표로 인구 증가세를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해 시민 의견을 반영한 ‘천안형 인구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지난해 11월 29일부터 12월 20일까지 온라인 여론조사 시스템 ‘다시 천안’을 통해 1,562명의 시민을 대상으로 인구정책 수요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설문 결과, 시민들은 가장 중요한 인구정책 분야로 ‘임신·출산 지원(41.9%)’을 꼽았으며, 이어 ‘아동보육 및 양육 지원(34.3%)’, ‘청년 지원(31.9%)’, ‘결혼 장려 및 신혼부부 지원(30.9%)’, ‘고령화 시대 대응 정책(30.5%)’ 순으로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청년 정책 분야에서는 ‘청년 주거 비용 지원(54.1%)’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청년 취업 지원(45.1%)’, ‘청년 일자리 조건 개선(41.7%)’ 등의 요구도 높았다.
결혼 장려 및 신혼부부 정책에서는 ‘신혼부부 주거 비용 지원(78.6%)’과 ‘신혼부부 주거 환경 개선(59.3%)’이, 임신·출산 지원에서는 ‘출산 후 건강관리(52.7%)’와 ‘출산 전 건강관리(44.2%)’가 중요 정책으로 꼽혔다.
아동보육 및 양육 분야에서는 ‘다함께 돌봄센터 및 방과 후 교육 확대(50.4%)’와 ‘아이돌봄 서비스 확대(48.9%)’가, 고령화 대응 정책에서는 ‘중장년·고령자 일자리 확대(59.3%)’와 ‘고령자 돌봄 및 의료·건강 관리(58.3%)’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도시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으로는 ‘교육·의료 등 서비스 기능 강화(54.7%)’와 ‘문화·관광·예술 등 즐길거리 확대(48.3%)’가 제시됐다.
천안시는 이달 중 ‘천안시 인구정책자문위원회’를 개최해 시민 의견을 반영한 ‘천안형 인구정책 시행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다. 또한, 인구 구조 변화에 대한 시민 공감대 형성을 위해 기존 초·중·고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했던 인구교육을 일반 시민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박상돈 천안시장은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시민의 목소리와 사회 변화상을 반영한 천안형 인구정책을 수립하겠다”며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정책을 지속해서 발굴하고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