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동구, 지표투과레이더로

 

서울 성동구(구청장 정원오)가 도로함몰 사고 예방을 위해 지표투과레이더(GPR, Ground Penetrating Radar)를 활용한 도로 하부 공동 탐사를 올해 5월부터 본격 실시한다.

 

 [코리안투데이] 성동구 지반침하 예방을 위한 지표투과레이더 탐사를 실시해 땅 꺼짐 사고를 사전 차단한다. (사진은 공동 발견 구간 천공 작업을 하는 모습) © 손현주 기자

 

지표투과레이더는 지반 아래 빈 공간(공동)의 위치와 규모를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비로, 도로 포장 아래 지반침하의 위험성을 조기에 발견해 사고를 사전에 차단하는 데 효과적이다.

 

성동구는 2022년부터 해당 탐사를 꾸준히 진행해왔으며, 2022년 54개소에서 2023년 23개소, 2024년에는 13개소로 공동 발견 수가 매년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다. 지난해에는 동북선 도시철도 구간까지 탐사를 완료하는 등 주요 기반시설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강화해왔다.

 

올해 탐사 대상은 구에서 관리하는 도로, 대규모 공사장 주변, 노후 상수도관 매설 구간 등으로, 위험이 큰 지역부터 정밀 탐사가 이뤄진다. 공동 발견 시에는 천공 및 내시경 촬영으로 확인 후, 유동성 채움재로 신속 복구하거나, 경우에 따라 굴착 후 항구적으로 보수할 방침이다.

 

지반침하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노후 하수관로에 대해서도 체계적인 정비가 이뤄지고 있다. 성동구는 최근 5년간 총 35km에 걸쳐 하수관 교체 및 보수공사를 마쳤으며, 올해에도 5건의 공사를 통해 2.2km 구간을 정비할 계획이다.

 

현장 실사 및 무인 CCTV를 통해 하수관의 구조적 결함을 확인하고, 국비·시비·재난관리기금 등 다양한 재원을 확보해 정비사업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더불어 성동구는 2017년 전국 최초로 도입한 ‘지하공간 안전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도로 하부의 이상징후를 사물인터넷(IoT)으로 실시간 감지하고 있으며, 2020년부터는 지하 상수관로를 상시 모니터링하는 ‘누수진단시스템’도 운영 중이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보이지 않는 곳까지 철저히 살펴 주민의 안전을 지키는 것이 구의 책무”라며 “앞으로도 선제적 안전 관리로 땅 꺼짐 없는 성동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코리안투데이] 공동규모 확인을 위한 내시경 촬영 모습 © 손현주 기자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