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자사의 핵심 서비스인 검색에 본격적으로 대화형 인공지능을 이식했다. 5월 20일(현지시간) 개최된 ‘구글 I/O 2025’에서 발표된 ‘AI 모드’는 기존의 검색 방식을 근본부터 뒤흔드는 기능이다. 더는 키워드 나열과 링크 탐색이 아니다. 이제 사용자는 질문을 입력하고, AI는 전문가처럼 요약하고, 제안하고, 결정까지 돕는다. 구글은 이를 “검색의 완전한 재구상”이라고 표현했다.
![]() [코리안투데이] 20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에서 ‘구글 I/O 2025’가 열렸다. |
AI 모드는 챗GPT나 퍼플렉시티처럼 자연어 기반의 채팅 검색 인터페이스를 도입했다. 기반 모델은 최신 ‘제미나이 2.5’. 여기에 멀티모달 처리 능력과 검색 최적화를 결합해, 텍스트·이미지·데이터를 넘나드는 대답이 가능하다. 단순 정보를 넘어 ‘조사, 비교, 판단’이라는 복합적 사고 영역까지 확장된 셈이다.
심층 분석 기능인 ‘딥 리서치’는 그 대표적인 예다. 사용자가 주제를 입력하면 AI가 수 분 내에 인용 포함 보고서를 생성한다. 제품 구매나 여행 계획처럼 다양한 맥락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AI는 관련 정보를 크롤링하고, 가격 비교와 리뷰까지 통합한 결과를 제시한다.
시각적 기능도 강화됐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신의 이미지를 업로드하면 AI가 옷을 입혀보는 가상 피팅이 가능하다. 구글은 향후 이 기능을 확장해, AI가 자동으로 제품을 구매하거나 예약까지 해주는 ‘쇼핑 에이전트’로 진화시킬 계획이다.
브라우저 자동화 도구인 ‘프로젝트 마리너’ 역시 본격 적용됐다. 이 도구는 사용자가 직접 웹을 탐색하는 대신, AI가 버튼을 누르고, 예약을 시도하며, 사용자를 대신해 사이트를 누빈다. 데이터 기반 질문에도 강하다. “필리스와 화이트삭스의 5년간 홈경기 승률을 비교해줘”와 같은 복잡한 요청도 처리 가능하며, 표와 그래프로 결과를 시각화해 보여준다.
AI 모드는 검색 히스토리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추천까지 제공하며, 향후 지메일·구글 캘린더 등과도 연동된다. 사용자의 이메일에 담긴 일정 정보를 기반으로 AI가 주변 식당을 추천하고, 예약을 대신 수행하는 식이다.
이 모든 기능은 구글 검색의 생태계를 완전히 뒤집는 시도다. 단순한 정보 탐색을 넘어, 사용자의 조력자이자 에이전트로 변화하려는 전략이다. 이는 챗GPT, 마이크로소프트의 코파일럿, 메타의 AI 어시스턴트 등에 밀리고 있다는 위기감이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수익 모델도 재구성됐다. 구글은 이날 고급 AI 기능에 우선 접근할 수 있는 ‘울트라 요금제’를 발표했다. 월 250달러에 달하는 이 요금제는 GPT-4o 프로 요금제를 넘어서며, 구글이 광고 기반 무료 서비스에서 유료 구독 기반 AI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음을 시사한다.
피차이 CEO는 키노트에서 “검색은 매일 85억 건의 쿼리를 처리한다”며, “어느 제품보다 더 많은 사람에게 AI를 제공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검색이 곧 구글의 얼굴이며, 이 얼굴이 AI로 바뀌고 있는 셈이다.
[ 변아롱 기자 | yangcheon@thekoreantoday.com ]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