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릉 신도시 성공 열쇠는 호수공원”… 자족형 미래도시 강조, 고양시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가 창릉 신도시 개발과 관련해 자족기능 없는 도시로의 전락을 막기 위해 호수공원 조성과 자족용지 확보를 강력히 촉구했다.

시는 호수공원을 단순 조경이 아닌 랜드마크이자 도시 브랜드로 자리매김해야 한다며, 창릉신도시를 반드시 자족형 미래도시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코리안투데이]  “창릉 신도시 성공 열쇠는 호수공원”… 자족형 미래도시 강조  © 지승주 기자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가 고양창릉지구 개발과 관련해 정부가 당초 약속했던 자족용지 확대, 호수공원 조성, 벌말마을 편입 등의 핵심 사항을 외면하고 있는 데 대해 깊은 우려를 표했다.

 

시는 창릉신도시를 단순히 주택만 공급하는 도시가 아닌, 시민들이 일하고 쉬며 삶을 누릴 수 있는 자족형 도시로 만들겠다는 기존 기조를 결코 흔들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호수공원 조성을 창릉신도시 성공의 핵심 인프라로 강조했다.

시는 이를 단순한 조경이나 휴식 공간이 아닌, 창릉천과 연계한 녹지축을 통해 도시 전체를 하나의 생태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도보 10분 생활권의 자연친화 도시를 실현할 복합 시민 인프라이자 도시 브랜드를 만들어낼 랜드마크로 반드시 조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시는 자족기능 없는 신도시는 결국 베드타운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하며, 실질적인 일자리 기반 확보를 창릉지구 성공의 선결 과제로 재차 강조했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과거 일산신도시와 행신·삼송·지축·향동지구 모두 자족기능을 등한시한 결과 고양시는 베드타운이라는 오명을 쓰게 됐다”며 “창릉신도시만큼은 반드시 자족기능과 도시 인프라를 사전에 확실히 확보해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겠다”고 강한 의지를 보였다.

 

시는 지구 경계에 위치한 벌말마을의 편입 또한 회피할 수 없는 과제로 보고 있다.

지리적·행정적 단절을 해소하고 도시계획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 벌말마을을 반드시 창릉지구에 포함시켜 균형 있는 도시를 조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시 관계자는 “창릉신도시는 단지 아파트를 짓는 공간이 아닌, 자족과 자연, 그리고 시민 일상이 조화를 이루는 살아있는 도시가 돼야 한다”며 “정부가 책임 있게 약속을 이행하고 고양시와 긴밀히 협력해 창릉신도시를 성공적인 자족형 미래도시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구리남양주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