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가 추진 중인 ‘친환경종합타운’ 설치사업이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 면제사업으로 최종 선정되면서, 2030년 준공 목표가 현실로 다가섰다. 이번 결정은 사업의 시급성과 공공성, 그리고 주민과의 갈등을 줄이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들이 종합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다. 세종시는 인구 증가에 따른 생활폐기물 급증과 기존 처리시설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년간 대규모 자원순환 인프라 구축을 추진해 왔다.
세종시 생활폐기물은 2016년 하루 99톤에서 2024년에는 206톤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그러나 시는 자체 소각시설이 부족해 민간에 처리비용을 수백억 원씩 위탁해 왔다. 이에 따라 전동면 송성리에 하루 480톤 규모의 소각시설을 포함한 ‘친환경종합타운’을 조성하기로 결정했다. 해당 부지는 총 6만 5,123㎡ 규모이며, 약 3,60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단순한 폐기물 처리시설을 넘어 수영장, 목욕탕, 문화체험공간 등 지역 주민이 원하는 편익시설도 함께 들어선다.
![]() [코리안투데이] 세종시 ‘친환경종합타운’ 조감도 ©이윤주 기자 |
이번 예타 면제는 2020년 입지후보지 공개모집부터 시작해 타당성조사, 전략환경영향평가, 입지결정 고시까지 일련의 행정 절차를 충실히 밟은 결과다. 국가재정법에 따라 예타 면제가 결정된 이후에는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를 통해 최종 규모와 예산이 확정된다. 이후 지방재정투자심사 등 후속 절차를 거쳐 2027년 착공, 2030년 준공이 목표다.
시는 주민 수용성 확보를 위해 ‘친환경종합타운 주민지원추진단’을 운영하고, 설명회 및 간담회를 통해 지역사회와 소통해 왔다. 이런 점은 유사 대형시설 추진에서 반복되는 지역 갈등과 비교해 긍정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행정과 소통, 환경이라는 세 축이 균형 있게 맞물리며 사업 추진에 힘을 실었다.
이번 사업은 세종시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청정 환경 조성을 위한 핵심 기반시설로 주목받는다. 앞으로 남은 행정절차 또한 신속히 마무리돼야 하며,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친환경 도시의 모델로 자리잡아야 한다. 세종시는 주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미래형 자원순환도시 구축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