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인천시립미술관 사전프로젝트 시민참여 공개포럼 개최

인천시, 인천시립미술관 사전프로젝트 시민참여 공개포럼 개최

 

인천광역시는 10월 30일(목) 오후 1시부터 6시까지 청학문화센터 청학아트홀에서 인천시립미술관 사전프로젝트의 일환인 시민참여 공개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개포럼은 2028년 개관 예정인 인천시립미술관의 비전과 정체성을 시민과 함께 모색하기 위한 대표적 공론의 장으로 기획됐다고 설명했다. 올해 포럼은 ‘열린 도시, 인천-열린 공간, 미술관’을 주제로 시민, 지역미술계, 문화예술 전문가가 참여해 미술관의 공간적 지형과 생태계를 논의하는 구성으로 마련됐다고 덧붙였다.

 

인천시, 인천시립미술관 사전프로젝트 시민참여 공개포럼 개최

 [코리안투데이]  인천시, 인천시립미술관 사전프로젝트 시민참여 공개포럼 개최  © 임서진 기자

 

행사 운영은 사회·좌장·발제자를 포함한 총 10명의 발언자와 약 100명의 시민 참여로 진행된다고 밝혔다. 포럼은 1부 식전행사 및 기조발제, 2부 주제발제 및 지정토론, 3부 종합토론 및 열린토론으로 구성됐으며, 시민과 전문가가 함께 의견을 나누는 참여형 공론회 형식으로 운영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인천시는 공론형 과정을 통해 시민 의견을 정책 논의로 연계하는 모델을 점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1부 식전행사에서는 ‘오프닝 필름’ 상영을 시작으로 AI 아트 퍼포먼스와 디지털 이미지 공모전 시상식이 진행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안나 근현대미술연구소 연구원과 페드로 페레이라 사이트레스그룹 총괄디렉터가 기조발제를 맡아 인천미술의 정체성과 미술관 공간 비전을 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인천시는 국내·국제 시각에서 인천미술의 특징과 미술관의 공간 전략을 함께 조망하는 기조발제가 향후 운영 방향 수립의 기반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2부는 이경모 한국미술평론가협회 ‘미술평단’ 주간의 사회로 진행되며, 세 개의 주제발제가 이어진다고 밝혔다. 윤재갑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총감독은 ‘접속지역, 인천시립미술관의 역할’을, 서영희 전 홍익대학교 교수는 ‘포용공간, 인천시립미술관의 가치’를, 안미희 전 경기도미술관장은 ‘후발주자, 인천시립미술관의 방향성’을 주제로 발제한다고 설명했다. 지정토론에는 오창근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홍경한 미술평론가, 이탈 한국미디어아트협회 이사가 참여해 발제 내용을 중심으로 미술관의 미래 비전을 논의하는 절차로 구성됐다고 덧붙였다.

 

3부에서는 변순영 인천문화재단 예술지원본부장이 좌장을 맡아 발제자와 토론자가 함께 참여하는 종합토론이 진행된다고 밝혔다. 이어지는 열린토론은 시민이 직접 발언자로 참여해 질문과 제안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며, 시민의 의견을 정책과 사업 설계에 반영하는 참여형 미술관 모델을 모색하는 시간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시는 포럼을 통해 도출된 논점과 제안을 사전프로젝트의 후속 과제에 연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공개포럼은 7월과 8월에 진행된 연구세미나 ‘인천 미술의 정체성과 미술관의 역할’, ‘수도권 미술관의 새로운 연대 모델’과 9월 시민 대상 디지털 이미지 공모전 ‘미래의 i미술관을 그리다’의 결과를 종합하는 자리로 기획됐다고 밝혔다. 인천시는 연구·공모·포럼을 잇는 단계적 공론 절차를 통해 인천시립미술관의 철학과 정체성을 시민과 공유하고, 향후 운영 방향을 함께 논의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시는 연속된 사전프로젝트를 통해 지역 예술 생태와 시민 참여 기반을 강화하는 효과가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윤도영 인천시 문화체육국장은 이번 포럼이 인천시립미술관의 개관을 시민과 함께 준비하는 과정이라고 밝혔다. 도시와 예술이 공존하는 열린 문화생태계를 조성하고, 미술관이 예술의 공공성을 확대하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해야 한다는 방향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인천시는 예술이 도시 변화를 견인하고 시민이 예술의 주체가 되는 운영 원칙을 중점 과제로 설정했다고 덧붙였다.

 

사전참여는 온라인 링크(https://forms.gle/e2fRRXm189DvvhUD6)로 접수하면 된다고 밝혔다. 포럼 관련 주요 내용과 자료는 인천시 및 프로젝트 공식 누리집(www.incm-project.or.kr)에 순차적으로 공개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문의는 인천시 관련 부서로 하면 되며, 자세한 내용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고 정리했다. 시는 행사 운영 세부 일정과 현장 진행 사항을 사전 고지하고, 참여 인원 규모와 질서 유지를 위한 안내 체계를 병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인천시는 이번 포럼을 통해 지역미술계, 시민사회, 정책 담당자가 함께 논의하는 구조를 마련해 건립 이후 미술관 운영의 방향성을 구체화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와 의견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공공미술관의 역할 범주, 지역성·국제성 균형, 디지털 전환과 미디어아트 수용, 접근성·포용성 지표 설정 등 핵심 의제가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시는 포럼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와 파일럿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시민 참여형 거버넌스 체계를 검토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구로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