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특별자치시(시장 최민호)가 대한민국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선정되었습니다. ㈔한국지역경영원(이사장 윤황, 원장 정성훈)은 지난 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2024년 대한민국 지속가능한 도시 순위발표 공동세미나’에서 이같은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평가는 대한민국의 228개 기초 시군구를 대상으로 인구, 경제·고용, 교육, 건강·의료, 안전 등 5개 영역의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지표를 바탕으로 이루어졌습니다. 평가 기준 시점은 2022년을 원칙으로 하되, 추이를 확인하기 위한 지표이거나 2022년 통계자료가 없는 경우에는 2021년 혹은 2023년 기준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세종시는 인구 부문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2022년 기준으로 인구규모는 38만 8,927명으로 전체 50위에 그쳤으나, 인구성장률(21.90%)과 평균연령(37.7세)에서 각각 전국 4위와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세종시의 빠른 성장과 젊은 인구 구성의 강점을 보여줍니다.
![]() [코리안투데이]시군구부분 지속가능한 도시 총합 상위 50개 도시 현황 © 이윤주 기자 |
세종시는 재정자립도(56.9%)와 상용직 비중(86.7%)에서 각각 전국 5위와 1위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상용직 비중이 높다는 것은 고용시장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세종시의 1인당 소득은 4,308.5만 원으로 전국 5위에 올랐으며, 이는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 중 최고 수준입니다.
세종시는 교육 부문에서 전체 97위, 건강·의료 부문에서 전국 45위를 기록했습니다. 안전 부문에서는 교통사고, 화재, 범죄, 자살, 감염병 등 여러 지표에서 높은 점수를 받으며 안전한 도시로 평가되었습니다.
![]() [코리안투데이]지속가능한 도시 총합 상위 100개 도시현황 © 이윤주 기자 |
총점 637.8점을 기록한 세종시는 종합 1위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선정되었습니다. 한국지역경영원은 “세종시의 지속가능성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지자체”라고 평가했습니다.
![]() [코리안투데이]지속가능한 도시 평가를 위한 항목 및 측정지표 © 이윤주 기자 |
최민호 세종시장은 “세종시가 지방소멸 극복 모델로서 큰 성과를 보이고 있다”며, “앞으로도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세종형 균형발전 모델을 전국으로 확산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지역경영원은 산업부 인가 사단법인으로, 매년 지자체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할 계획입니다.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