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설동(新設洞)의 동이름 유래

한홀 건국 이후

현재 시각

한홀: 기원전 6년 백제 시조 온조왕의 첫 도읍지 하남위례성 494년의 역사

수도권 동부 교통 요충지 광주향교 l 스타필드 하남 l 하남유니온타워 하남 두미강변 생태환경도시

하남시 승격: 1989년 1월 1일 살기 좋은 도시 도약하는 하남 시의 상징 : 은행나무·꿩·은방울꽃

쿠팡 파트너스 광고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하남시 최신 뉴스

 

조선 시대 동부숭신방(崇信坊)에 새로 설치한 마을이라 하여 신설계(新設契)라 하던 것을 갑오개혁 때 신설동(新設洞)이라 하였는데, 예전엔 이곳을새말또는 신리(新里)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신설동(新設洞)의 동이름 유래

 [코리안투데이] 신설동역의 옛모습 © 박찬두 기자

 

예전엔 동대문시립도서관 일대를 우산각골(雨傘閣里)또는 우선동(遇仙洞)이라고 하였는데, 우산각(雨傘閣)이란 조선 세종 때 우의정을 지낸 하정(夏亭) 유관(柳寬) 선생이 살던 집을 부르던 이름이다. 하정(夏亭) 선생은 비가 오는 날에는 방안에서 우산(雨傘)을 받쳐 들고 비를 피했을 정도로 생활이 청렴(淸廉)하여 청백리(淸白吏)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숭인동 동묘(東廟) 동쪽에서부터 신설동 남쪽 청계천로 변에는 타원형으로 자리 잡은 경마장(競馬場)이 있었습니다. 경마장은 원래 용산(龍山) 이촌동(二村洞)에 있었으나, 1925년 을축년(乙丑年) 대홍수 때 시설이 유실되어 이곳 신설동 85번지 일대로 옮겨졌으며, 1928년부터 1954년 뚝섬으로 이전(移轉)할 때까지 경성경마장(京城競馬場)이란 이름으로 그 기능을 하였다고 합니다.

 

현재 신설동에는 동대문도서관, 동대문우체국, 동대문등기소, 성북수도사업소등 공공기관과 우산각공원이 있습니다.

 

글 제공 : 동대문구청

문의전화 : 전화번호 02-2127-5208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