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십리동(踏十里)의 동이름 유래

한홀 건국 이후

현재 시각

한홀: 기원전 6년 백제 시조 온조왕의 첫 도읍지 하남위례성 494년의 역사

수도권 동부 교통 요충지 광주향교 l 스타필드 하남 l 하남유니온타워 하남 두미강변 생태환경도시

하남시 승격: 1989년 1월 1일 살기 좋은 도시 도약하는 하남 시의 상징 : 은행나무·꿩·은방울꽃

쿠팡 파트너스 광고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하남시 최신 뉴스

 

답십리 동명의 유래는 조선 초 무학대사(無學大師)가 도읍을 정하려고 이곳을 밟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과 이곳이 도성, 즉 동대문(東大門)으로부터 10리 정도 떨어진 거리에 있다 하여 왕십리(往十里)와 같은 의미로 답십리(踏十里)라 하였다는 설이 있습니다.

 

답십리동(踏十里)의 동이름 유래

 [코리안투데이] 옛날 답십리 촬영 현장을 재현한 모형과 사진(자료제공: 답십리영화미디어아트센터) 박찬두 기자

 

또한 청계천 하류인 이곳은 들()이 넓어 답십리(畓十里)라 하였고, 농본 국가인 조선 시대 국왕(國王)이 일 년에 한 차례씩 농민들의 고통을 체험코자 이곳에 이르러 논둑을 밟으며 모내기에 임했기 때문에 답십리(踏十里)가 되었다는 설이 있으나, 정작 어느 것이 맞는지는 알 길이 없다고 합니다.

 

예전에 이 지역에는 답십리의 여러 마을 중 제일 먼저 생겨났다는 원마을일명 원동(元洞)과 원마을 너머에 있었다는 너머마을일명 월동(越洞), 원마을 위쪽이라 하여 붙여진 웃마을, 작은답십리등 자연 부락이 있었으며, 답십리3동에는 도단(都壇)-일명 장영당이라는 신당(神堂)이 있습니다.

 

현재 답십리 지역엔 자동차부품상가, 고미술상가, 황물상가등 특화 거리가 조성되어 있으며, 답십리근린공원, 간데메공원, 동대문 문화회관등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글 제공 : 동대문구청

문의전화 : 전화번호 02-2127-5208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