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경동(徽慶洞)의 동이름 유래

한홀 건국 이후

현재 시각

한홀: 기원전 6년 백제 시조 온조왕의 첫 도읍지 하남위례성 494년의 역사

수도권 동부 교통 요충지 광주향교 l 스타필드 하남 l 하남유니온타워 하남 두미강변 생태환경도시

하남시 승격: 1989년 1월 1일 살기 좋은 도시 도약하는 하남 시의 상징 : 은행나무·꿩·은방울꽃

쿠팡 파트너스 광고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하남시 최신 뉴스

 

휘경동의 동명은 배봉산 아래(휘경동 산7번지현 휘경중학교 자리)에 있었던 조선조 제22대 순조(純祖)의 생모 수빈(綏嬪) 박 씨의 묘소였던 휘경원(徽慶園)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휘경동(徽慶洞)의 동이름 유래

 [코리안투데이] 남양주에 위치한 순조의 생모인 수빈 박씨 휘경원 능의 모습(자료제공: 한국학중앙연구원박찬두 기자

 

처음에는 휘경원(徽慶園)으로 부르다가 차츰 휘경리(徽慶里), 휘경동(徽慶洞)으로 바뀌게 되었다 합니다.

 

휘경원(徽慶園)이 조성되기 61년 전인 영조 38(1762)에는 사도세자(思悼世子)가 뒤주 속에서 죽자 배봉산 기슭에 그의 묘소인 영우원(永祐園)을 만들었으나, 후일 정조(正祖)가 수원 화산(花山) 현륭원(縣隆園)으로 이장하였습니다.

 

수빈 박 씨의 묘소가 양주 순강원(順康園)으로 옮긴 지 50년이 지난 광무 11(1907)에는 제24대 헌종의 후궁인 순화궁(順和宮) 경빈(慶嬪) 김씨가 세상을 떠나자, 고종은 이곳에 장례를 지내게 하고 묘소의 명칭을 수빈 박 씨의 휘경원(徽慶園)과 같게 하였다고 합니다.

 

현재 휘경동 관내에는 지하철 회기역서울위생병원이 있습니다.

 

글 제공 : 동대문구청

문의전화 : 전화번호 02-2127-5208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