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문구의 축제/공연 : 선농제향

한홀 건국 이후

현재 시각

한홀: 기원전 6년 백제 시조 온조왕의 첫 도읍지 하남위례성 494년의 역사

수도권 동부 교통 요충지 광주향교 l 스타필드 하남 l 하남유니온타워 하남 두미강변 생태환경도시

하남시 승격: 1989년 1월 1일 살기 좋은 도시 도약하는 하남 시의 상징 : 은행나무·꿩·은방울꽃

쿠팡 파트너스 광고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하남시 최신 뉴스

 

선농대제(先農大祭)의 기원(紀元)은 신라시대(新羅時代)부터이며, 고려시대 성종 2(983) 정월에 왕이 원구단(圓丘壇)에서 기곡제(祈穀祭)를 지낸 후, 선농단(先農壇)에서 신농(神農) 씨에게 제사를 지내고, 후직(后稷)을 배양했으며, 몸소 직전(直田)을 갈았다고 한다.

  

동대문구의 축제/공연 : 선농제향

 [코리안투데이선농단의 모습(사진제공동대문구청ⓒ 박찬두 기자

 

선농대제(先農大祭)와 친경(親耕)은 이후 계속 이어져 내려오다가 조선조(朝鮮朝) 마지막 황제인 순종 융희(隆熙) 4(1910) 5월에도 행하였으나, 일제의 강점기(强點期)에 폐지(廢止)되었다.

 

 [코리안투데이선농제향을 하는 모습(사진제공동대문구청ⓒ 박찬두 기자

 

1979년에 제기동의 뜻있는 분들이 선농단친목회(先農壇親睦會)를 구성(構成)하여, 선인(先人)들의 뜻을 되새기기 위해 1년에 한 번씩 이 단()에서 치제(致祭)를 올리다가, 1992년부터 동대문구에서 제()를 올리고 있으며, 동대문문화원과 선농단보존회에서 함께 주관(主管)하고 농림축산식품부, 서울특별시가 후원(後援)하는 행사로 발전(發展)되었다.

 

 [코리안투데이선농제향을 하는 모습(사진제공동대문구청ⓒ 박찬두 기자

 

선농제(先農祭)를 지낸 후, 국왕을 비롯한 조정중신을 물론, 서민에 이르기까지 모두 함께 밭을 간 뒤, 국왕은 백성들에게 소를 잡아 끊인 국말이 밥과 술을 내렸으며, 그 국밥을 선농단(先農壇)에서 내린 것이라 하여 선농단선농탕설롱()으로 변한 것이 오늘의 설렁탕의 유래이다. (자료제공: 동대문구청)

 

 부서 : 문화관광과 문화예술팀

 전화 : 02-2127-4158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