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한국 2035, 미래를 여는 핵심 프로젝트

광고 문의 : gyeonggihanam@thekoreantoday.com

한홀 건국 이후

현재 시각

한홀: 기원전 6년 백제 시조 온조왕의 첫 도읍지 하남위례성 494년의 역사

수도권 동부 교통 요충지 광주향교 l 스타필드 하남 l 하남유니온타워 하남 두미강변 생태환경도시

하남시 승격: 1989년 1월 1일 살기 좋은 도시 도약하는 하남 시의 상징 : 은행나무·꿩·은방울꽃

쿠팡 파트너스 광고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하남시 최신 뉴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가 ‘문화한국 2035’ 핵심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한국이 글로벌 문화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중장기 계획을 제시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저출생·고령화, 디지털·AI 전환, 글로벌 K-컬처 확산 등 변화하는 사회·경제 환경에 맞춰 새로운 문화정책 패러다임을 구축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 문화정책 패러다임 전환…국가 주도에서 민간 중심으로  

 

문체부는 기존 국가 주도의 문화정책에서 벗어나 민간과 시장 중심의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정책 추진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중앙정부와 지역 간 수평적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정책 방향을 전환한다.  

 

특히, AI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문화 산업 혁신이 주요 과제로 꼽힌다. AI 기반 콘텐츠 창작 및 유통, 문화 데이터 활용 체계 구축 등을 통해 디지털 시대에 적합한 문화·예술 생태계를 조성할 방침이다.  

 

### 지역 문화 균형 발전 및 창의적 인재 양성  

 

문체부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문화 격차를 해소하고 지역 고유의 문화자산을 활용한 지역 활성화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국립예술단체 및 기관의 지역 이전, 문화도시 3.0 추진, 신(新) 광역관광 개발 등을 주요 정책으로 설정했다.  

 

또한, 창의적인 문화 인재 양성을 위한 ‘아트코리아(AK) 프로젝트’를 통해 예술·콘텐츠·관광 분야 전문 인력을 육성하고, AI 시대에 맞는 새로운 교육 모델을 도입할 계획이다.  

 

### 글로벌 문화 리더십 강화  

 

K-컬처 확산을 지속 가능하게 만들기 위한 전략도 포함됐다. 재외 한국문화원을 한류 거점 기관으로 개편하고, 국제문화교류 전문 인력을 양성하며, 국가 이미지 제고를 위한 통합 마케팅을 강화할 예정이다.  

 

특히, 글로벌 문화 ODA(공적개발원조) 사업을 확대하여 개도국과 협력하고, 남북 문화교류를 위한 단계적 접근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 지속 가능한 문화 발전을 위한 지원 정책 

 

문체부는 문화·예술 창작자 및 기업을 위한 금융·펀드 지원을 확대하고, 디지털·AI 기술을 활용한 문화 콘텐츠 개발을 촉진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 지원 방식 개선, 장르별 진흥법 제정, 공공 문화 데이터 개방 등의 정책을 추진한다.   

 

문화한국 2035, 미래를 여는 핵심 프로젝트

 [코리안투데이] 문화한국 2035, 미래를 여는 핵심 프로젝트   © 송정숙 기자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문화한국 2035 프로젝트는 창의적 개인, 행복한 사회, 역동하는 경제, 함께하는 세계라는 목표 아래 문화가 성장 동력이 되는 미래를 만드는 계획”이라며 “문화산업을 국가 핵심 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고, 대한민국이 세계 문화 강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경기하남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