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취약계층 위해 ‘AI 융합 맞춤형 교육’ 손잡다

 

한국열린사이버대 인공지능융합학과 AI융합센터와 한국사회복지정책연구원이 8월 9일 사회 취약계층의 디지털 복지 향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장애인, 노인, 청소년, 다문화가족 등을 대상으로 AI 리터러시와 AI ART 실습 교육이 제공되며, 9월 APEC 정상회의 기념 전시 참여 기회도 주어진다.

 

 [코리안투데이] (왼쪽)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AI융합센터장 장인보 (중앙) 한국사회복지정책연구원장 김종인 (오른쪽)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인공지능융합학과장 정유채  © 지승주 기자

한국열린사이버대 인공지능융합학과 AI융합센터와 한국사회복지정책연구원이 사회 취약계층의 디지털 복지 향상과 AI 활용 역량 강화를 위해 손을 잡았다. 두 기관은 8월 9일 서울 강남구 한국열린사이버대 강남학습관에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장애인·노인·청소년·다문화가족 등 디지털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맞춤형 AI 융합 교육 프로그램을 추진하기로 했다.

 

협약식에는 김종인 한국사회복지정책연구원 원장, 정유채 한국열린사이버대 인공지능융합학과장, 장인보 AI융합센터장(AI영화제 총괄감독)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김종인 원장은 “디지털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이들에게 AI 활용 교육은 디지털 휴먼 복지 실현의 신호탄이 될 것”이라며 “이번 협력은 대한민국이 디지털 복지국가로 도약하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유채 학과장은 “청소년, 성인, 노인, 다문화가족, 장애인 등 다양한 계층을 위한 AI 리터러시 교육을 본격적으로 펼칠 수 있게 돼 기쁘다”며, “특히 문화·예술과 결합한 AI ART 실습 교육을 통해 창의적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장인보 AI융합센터장은 AI를 “인간 능력을 확장하는 협업 파트너”로 규정하며 사회복지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역설했다. 그는 “AI가 반복 업무를 자동화하면 사회복지사는 보다 창의적이고 복합적인 일에 집중할 수 있다”며, “이번 협약을 발판으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AI ART 교육에 참여하고, 9월 APEC 정상회의 기념 ‘미술 & AI Art 전시’에 공동 작품을 출품하는 국회행사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마련되는 교육은 AI 기초 활용, 창의적 콘텐츠 제작, 예술·문화 융합 프로젝트 등으로 구성되며, 취약계층이 실생활과 직업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 역량을 기르는 데 초점을 맞춘다.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경기하남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