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칭 양로원에 AI 동반 로봇 ‘페이페이’ 등장…노인들 마음 사로잡다

중국 충칭(重慶)시 제1사회복지원 양로원에 따뜻한 인공지능(AI) ‘직원이 새로 등장해 화제다. 이름은 페이페이(裴裴)’. 말도 잘하고 인내심도 많으며, 무엇보다 노인들의 이야기를 누구보다 잘 들어주는 이 감성 로봇은 노인들의 새로운 벗이 됐다.

 

 [코리안 투데이]  충칭시 제1사회복지원의 노인들이 ‘페이페이(裴裴)’와 이야기를 나눔 © 두정희 기자

 

올해 86세인 왕() 할머니는 매일 페이페이와 시간을 보낸다. “궁금한 걸 물어보면 뭐든 대답해 줘요. 퍼즐 게임도 하고, 사진을 찍으면 젊은 시절 얼굴을 만들어주니 재미있어요.” 왕 할머니에게 페이페이는 말동무이자 디지털 친구다.

 

페이페이는 마상소비금융주식회사 샹궈후이 수석 엔지니어와 연구개발팀이 인공지능과 AI 심리학 기술을 융합해 만든 로봇이다. 이들은 멀티모달 감정 파운데이션 모델을 기반으로, 감정적 유대 디지털 소양 건강·안전 보호 엔터테인먼트 생활 보조 등 5대 서비스 모듈을 탑재해 노인들의 다양한 욕구에 대응하고 있다.

 

 [코리안 투데이] 충칭시 제1사회복지원의 노인들이 로봇의 사진 촬영 기능을 체험  © 두정희 기자


충칭시의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약 600만 명, 전체 인구의 18.87%를 차지한다. 샹 엔지니어는 조사 결과 노인들은 단순한 생활 보조보다 감정적 교류를 원하고 있었다며 로봇의 정서적 상호작용 기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페이페이는 단순한 대화 기능 외에도 스마트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심박수, 호흡 등 활력징후를 실시간 감지하며, 장기적으로 노인의 심리 상태를 분석해 위험 요소가 감지되면 의료진에게 즉시 정보를 전송한다. 정서적 안정뿐 아니라 신체 건강까지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다.

 

류민(劉敏) 충칭시 제1사회복지원 부원장은 노인들은 외로움과 고립감을 쉽게 느끼기 때문에 감정적 개입이 필수적이라며 페이페이는 24시간 곁에서 교감하며, 의료진이 미처 채워주지 못한 정서적 공백을 메워준다고 말했다. 또한 이 로봇은 노인들이 새로운 기술을 자연스럽게 접하고 디지털 사회에 통합되도록 돕는 창구 역할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샹 엔지니어는 “AI 로봇 기술은 아직 초기 단계지만, 향후 휴머노이드 로봇이 양로 분야 전반에 보편화될 것이라며 첨단 기술이 노년층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