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천구, 돌봄SOS 네트워크 확대해 ‘긴급 돌봄 공백’ 대응…총 39개 기관 협약 체결

서울 양천구가 돌봄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돌봄 공백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돌봄SOS 서비스’ 제공기관 5곳을 신규로 추가, 총 39개 기관과 돌봄 네트워크를 강화했다고 9월 3일 밝혔다.

 

[코리안투데이] 지역 내 홀몸어르신 가정을 방문해 안부를 전하는 이기재 양천구청장 © 변아롱 기자

돌봄SOS 서비스는 갑작스러운 사고나 질병, 돌봄 공백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주민에게 ‘일시재가, 동행지원, 주거편의, 식사배달, 단기시설 이용’ 등 5대 돌봄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비스를 요청한 가정에는 돌봄매니저가 직접 방문해 문제를 파악하고, 맞춤형 돌봄 계획을 수립한 뒤 협약된 기관을 통해 실행된다.

 

이번에 협약을 맺은 기관은 서울노인복지센터, 기쁨주는재가복지센터, 보람방문복지센터, 양천재가복지센터, 효드림재가복지센터 등 5곳이다. 기존 34곳을 포함해 총 39곳의 돌봄기관이 양천구 내 긴급 돌봄망으로 활발히 조율하게 되었다.

 

지난해 양천구가 제공한 돌봄SOS 서비스 중 일시재가 758건, 동행지원 698건 등 해당 두 서비스가 전체의 절반 이상인 52%를 차지했을 정도로 수요가 많았다. 협약기관 확대는 신속하고 폭넓은 돌봄 대응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조처다.

 

돌봄 서비스가 일회성에 그치지 않도록 양천구는 서비스 종료 이후에도 장기요양, 노인맞춤돌봄 등 공적 돌봄제도와 연계하고, 안부확인, 사례관리, 건강지원, 긴급지원 등 중장기 돌봄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체계를 마련했다. 이를 통해 돌봄 사각지대가 완전히 해소된다는 목표다.

 

서비스 이용 조건도 확대된다. 올해부터 돌봄SOS 서비스 연간 이용 한도 상한이 폐지되고, 1인당 최대 이용금액이 160만 원에서 180만 원으로 인상됐다. 대상자는 기존의 50세 이상 중장년 및 장애인 중심에서 돌봄이 필요한 모든 주민으로 확대되었다.

 

저소득층과 중위소득 100% 이하 주민은 돌봄SOS 서비스 이용 금액을 전액 지원받을 수 있으며, 그 외 대상은 일부 자부담이 발생할 수 있다. 돌봄 서비스 신청은 거주지 동 주민센터나 다산콜센터를 통해 가능하다.

 

이기재 양천구청장은 “지역 내 협약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돌봄이 필요한 주민에게 신속하고 적절한 도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돌봄 안전망을 더욱 촘촘히 구축해 모든 구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양천구의 돌봄SOS 네트워크 확장 전략은, 돌봄 사각지대를 빠르게 해소하려는 ‘맞춤형 복지서비스’의 좋은 모델로 평가된다. 특히 긴급돌봄 대응부터 지속 서비스 연계까지 복지 전 단계에서 주민 체감형 실행력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도시 복지 혁신 사례로 주목된다.

 

 

[ 변아롱 기자 : yangcheon@thekoreantoday.com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인천강화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