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서구, 모아타운 개발 본격화… 공공기관 참여로 첫 조합설립 인가

 

서울 강서구(구청장 진교훈)가 등촌동 515-44 일대 가로주택정비사업 제1-3구역에 대해 지난 4 24일 조합설립인가를 처리하며 모아타운 사업을 본격화했다. 이번 조합설립 인가는 화곡6동 모아주택 조합설립 이후 두 번째 성과로, 특히 공공기관(SH공사) 참여 모아타운 대상지 중에서는 최초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모아타운은 서울시가 추진하는 소규모 정비방식으로, 재개발이 어려운 노후 저층주거지를 빠르게 정비하는 사업이다. 특히 이번 등촌동 사업은 공공기관 참여를 통해 면적 제한, 기부채납 비율 등 다양한 특례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사업성이 대폭 개선될 전망이다.

 

공공기관과 손잡고 사업성 높인 모아타운

 

등촌동 515-44 일대는 19,627㎡ 규모로, 향후 지하 2~지상 15, 8개 동 규모의 공동주택 386세대와 부대·복리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이 지역은 봉제산과 인접한 노후주택 밀집지역으로, 좁은 도로와 학교 인근이라는 특성 때문에 주거환경 개선과 학생 보행안전 확보가 시급했던 곳이다.

 

 [코리안투데이] 등촌2동 515-44 일대 사진  © 송정숙 기자

 

하지만 자연경관 보호를 위한 도시계획 규제로 건축 높이가 4층 이하(16미터 이하)로 제한돼 있어 장기간 개발이 지지부진했다. 이에 강서구는 2021년 모아타운 관리계획을 수립하고, 2023년 이를 승인·고시해 본격적인 사업 추진 기반을 마련했다.

 

이후 주민 동의율 86.97%를 달성해 조합설립을 신청했고, 강서구는 모아타운 특례를 적용해 이번 인가를 최종 승인했다. 특히 공공기관인 SH공사가 조합과 공동 사업시행자로 참여하게 되면서, 기존 가로주택정비사업 면적 제한(2만㎡ 미만) 4만㎡ 미만으로 확대되고, 임대주택 기부채납 비율도 50%에서 30%로 완화되는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이외에도 사업비 저리 융자 지원, 사업성 분석 지원 등 다각적인 지원이 제공돼 사업 추진 속도와 성공 가능성이 크게 높아졌다.

 

지역 균형 발전과 주거환경 개선, 모아타운이 해답

 

이번 등촌동 조합설립 인가는 단순히 한 지역의 재생을 넘어, 강서구 전체 균형 발전과 직결되는 의미 있는 성과다. 강서구는 모아타운을 통해 노후 주거지 재정비를 신속히 추진하고 있으며, 등촌2동을 포함한 10개 모아타운 대상지 중 이미 7곳의 관리계획 승인을 완료했다. 또한, 공항동 55번지 일대 등 2개 지역은 지난 3월과 4월 서울시 통합심의를 통과하며 사업 추진에 탄력을 받고 있다.

 

진교훈 구청장은그동안 지역균형 발전과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모아타운 사업을 역점적으로 추진해왔다이번 조합설립 인가는 그 결실로, 앞으로도 노후주택 정비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강서구는 모아타운 사업이 단순한 물리적 환경 개선을 넘어, 지역 공동체를 살리고, 살기 좋은 주거환경을 조성하는 핵심 정책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위해 향후 모아타운 사업 대상지의 주민 소통을 강화하고, 맞춤형 지원을 확대하는 한편, 공공기관과의 협력도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모아타운의 성공적 안착, 강서구가 이끈다

 

모아타운은 재개발·재건축처럼 대규모 사업에 비해 기간과 비용이 적게 들면서도 노후 저층주거지를 효율적으로 정비할 수 있어 최근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주민 합의, 사업성 확보, 행정지원 등 다양한 요소가 성공을 좌우하는 만큼, 강서구의 선제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은 타 지자체의 벤치마킹 모델이 되고 있다.

 

특히 이번 등촌동 사례처럼 공공기관이 직접 참여하는 구조는 사업 안정성과 신뢰도를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으며, 향후 타 지역에서도 공공기관 협력 모델이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강서구는 앞으로도 모아타운 사업을 통해지역균형 발전과 주거환경 개선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겠다는 계획이다. 주민이 주체가 되어 미래를 그려나가는, 사람 중심의 도시재생이 바로 강서구 모아타운 사업의 핵심이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강서구청 도시재생과(☎02-2600-6826)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