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추가 관세 선언, BRICS 지지국 정조준…한국 정부의 전략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BRICS 정책에 동조하는 국가들에 대해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선언하며 국제 무역 질서에 중대한 경고를 날렸다. 이번 발언은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BRICS 정상회의와 동시에 나왔으며, ‘트럼프 추가 관세’ 정책의 복귀 가능성을 예고하고 있다.

 

  [코리안투데이] 미국 트럼프대통령이 관세정책에 대해 복귀 가능성을 예고 하고 있다. © 현승민 기자

트럼프는 자신의 SNS 플랫폼 트루스소셜을 통해 “반미적 BRICS 정책을 따르는 국가는 예외 없이 10% 추가 관세를 부과받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는 BRICS 정상들의 공동 성명에서 일방적인 관세 인상과 무역 제재에 대해 비판한 데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BRICS는 미국 중심의 세계 질서에서 벗어나 다극적 금융 및 외교 시스템을 추구하는 신흥국 협의체로, 현재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 외에도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UAE, 에티오피아, 인도네시아, 이란 등이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달러화 탈피와 무역 다변화를 통해 미국의 경제적 영향력에 균열을 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관세 위협 속에서 한국은 중요한 기로에 서 있다. 특히 반도체, 철강, 자동차 등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산업들이 직접적인 타격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 2023년 기준, 미국에 대한 반도체 수출이 전체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어 관세 부과 시 기업 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재명 정부는 이에 대해 ‘전략적 중립’ 외교 기조를 바탕으로 미국과의 협력을 유지하되, BRICS 등 신흥국과의 경제 교류도 확대하겠다는 입장이다. 통상교섭본부는 이미 미국 측과의 통상 대화를 통해 철강 및 자동차 품목에 대한 관세 면제 협상을 추진 중이며, WTO 제소 가능성도 검토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트럼프의 발언에 대해 “관세를 협박 수단으로 삼는 것은 누구에게도 이롭지 않다”고 비판하며 무역 전쟁 재발을 경계했다. 한국 역시 한미 FTA 체결국으로서 WTO 체제에 따른 대응 논리를 명확히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재선 가능성까지 고려하여 한국 정부가 선제적인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특히 산업별 영향 분석과 함께, 미 의회 및 국제 무역 기구와의 공조를 통해 추가 관세의 예외 적용을 이끌어내야 한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 현승민 기자: ulsangangnam@thekoreantoday.com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종로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