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특허 출원이 머니? 17.1배도 벌어준다

 

초기 창업기업(스타트업)이 특허·상표를 미리 출원하면 자금조달 가능성이 최대 17.1배, 기업 공개나 인수합병(엑싯) 가능성은 2배 이상 높아진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지식재산권이 창업기업의 성장성과 투자 유치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수치로 입증된 셈이다.

 

이는 국가지식재산위원회와 특허청이 한국지식재산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KDI)에 의뢰해 1999년부터 2025년까지 총 2,615개 스타트업의 투자 정보와 특허·상표 출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로, 7월 21일 공동 발표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스타트업이 특허나 상표를 먼저 출원하면 자금조달 가능성은 출원하지 않은 기업보다 최소 1.7배 높았고, 후기 단계(시리즈C 이상)에서는 최대 6.3배까지 증가했다. 특히, 특허와 상표를 함께 출원할 경우 자금조달 가능성은 9배까지 상승했고, 국내외를 포함해 총 20건 이상을 출원하면 그 수치는 무려 17.1배에 달했다.

 

기업 공개나 인수합병으로 투자금을 회수하는 엑싯 가능성도 크게 높아졌다. 특허·상표를 미리 출원한 스타트업은 엑싯 가능성이 2배 이상 증가했고, 출원 건수가 20건을 넘으면 이 수치는 최대 5.9배까지 확대됐다. 즉, 지식재산 확보 전략이 투자 유치와 함께 창업의 성공적 마무리에도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광형 국가지식재산위원회 민간위원장은 “미국과 유럽처럼 국내에서도 지식재산이 초기 창업기업에 필수적이라는 점이 입증됐다”며 “정부도 자금뿐 아니라 지식재산 전략을 함께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완기 특허청장도 “이번 연구는 지식재산 정보가 기업의 성장 가능성과 가치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스타트업이 혁신의 가치를 지식재산으로 인정받고 투자 유치 등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도록 실질적인 정책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코리안투데이] 스타트업 특허 출원 ( 사진 = AI 생성 ) © 송현주 기자

이번 연구는 단순히 특허 수를 늘리는 전략이 아닌, 지식재산을 창업 전략과 투자 전략에 유기적으로 결합시키는 것이 필수라는 점을 명확히 했다. 창업 초기에 특허와 상표를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술력과 시장성을 증명할 수 있다면 투자자들에게 보다 매력적으로 다가갈 수 있다는 것이다.

 

스타트업 생태계에서 기술력 중심의 기업가치 평가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의 협력이 지속돼야 한다. 이번 보고서는 ‘지식재산 없는 창업은 반쪽짜리’라는 말을 다시 한번 각인시키는 계기가 됐다.

 

[ 송현주 기자 : mapo@thekoreantoday.com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중구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