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특별자치시(시장 최민호)는 8일부터 가까운 정류장과 정류장을 연결하는 도심형 수요응답형버스(DRT)인 ‘이응버스’를 본격 운영한다. 이응버스는 20대를 시작으로 일부 생활권에서 운행되며, 오는 22일부터는 총 30대의 이응버스를 투입해 세종시 전 생활권으로 확대 운행할 예정이다.
![]() [코리안투데이] 세종시 도심형수요응담형버스 “이응버스” © 이윤주 기자 |
이응버스는 지난 2021년 4월부터 규제특례 실증사업으로 운영되던 도심형 DRT ‘셔클’의 새로운 이름이다. 그동안 셔클을 운영해 온 현대자동차의 지원을 받아 올 하반기부터 시 자체 사업으로 전환되어 운영된다.
이응버스의 운행 방식은 동선이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이용객을 합승·경유하는 방식으로, 목적지까지 중간 경유지 없이 도달하는 택시와 정해진 노선의 모든 정류장을 경유하는 노선버스의 중간 성격을 지닌다.
![]() [코리안투데이] 세종시 신개념교통수단 ‘이응버스’본격운영시작 © 이윤주 기자 |
이번에 도입된 이응버스는 1·2생활권, 3·4생활권, 6생활권 내에서 운행되며, 한정된 재원으로 간선급행체계(BRT)와의 환승 연계를 높이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특히 이응버스는 세종시에서 운행 중인 모든 버스와 환승 연계가 가능하여 근거리 이동 수단으로 시민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셔클은 도입 첫해인 2021년 14만 명, 2022년 35만 명, 2023년 67만 명의 이용 실적을 기록하며, 1·2 생활권 대표 근거리 이동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이응버스는 세종시 통합교통플랫폼인 ‘이응앱’을 통해 호출이 가능하며, 이용 요금은 성인 기준 1,800원이다.
특히 오는 9월에는 월 정액권 형태의 ‘이응패스’가 이응앱에 탑재될 예정이어서 시민들의 대중교통 이용 편의성을 더욱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최민호 시장은 “이응버스의 전 생활권 도입과 함께 오는 9월 이응패스 도입, 버스노선 신설, 어울링 확충, 택시 확충 등 다양한 대중교통 혁신 전략을 실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