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효모와 첨가물, ‘컨벤셔널’은 정말 나쁜가?
와인의 시각적 차이: 내추럴 와인(좌) vs 컨벤셔널 와인(우)
요즘 와인 애호가들 사이에서 자주 들리는 말, 바로 ‘내추럴 와인’이다. 와인 샵이나 레스토랑에서도 “이건 내추럴 와인이에요”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된다. 하지만 내추럴 와인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고, 일반적으로 알려진 ‘컨벤셔널 와인’과 어떻게 다른지는 명확히 이해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양조 방식의 철학이 드러나는 라벨과 와인 색의 차이
간단히 말해, 내추럴 와인(Natural Wine)은 첨가물을 넣지 않고 천연 효모로 자연 발효시킨 와인을 말한다. 포도 수확부터 병입까지 인위적인 개입을 최소화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제초제나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인공 효모, 황산염(방부제) 등을 가능한 한 배제하며, 포도의 본연의 맛을 살리는 데 집중한다.
반면, 컨벤셔널 와인(Conventional Wine)은 일정한 품질과 안정성을 위해 인공 효모나 첨가물 등을 사용하는 전통적인 방식의 와인이다. 와인의 맛을 조정하고, 다양한 기호에 맞춘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 둘 중 무엇이 더 ‘좋은 와인’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내추럴 와인은 철학과 자연주의에 가까운 와인컨벤셔널 와인은 기술과 전통이 어우러진 안정적인 와인이라 할 수 있다. 선택은 개인의 가치관과 취향에 따라 달라지며, 와인의 세계를 더 넓게 탐험하고자 한다면 두 방식 모두 경험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다음 칼럼에서는 발효 방식의 차이, 즉 ‘중간 발효법 vs 완전 발효법’에 대해 이야기해볼 예정이다. 와인의 단맛과 도수를 결정짓는 중요한 과정이니, 궁금하다면 다음 편도 꼭 확인해보시길.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