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125%에 달하는 관세를 부과하면서, 세계 물류 중심지 중 하나인 상하이항이 사실상 ‘멈춰섰다’.
![]() [코리안 투데이] 상하이 항-계면신문(界面新聞) © 두정희 기자 |
중국 경제 매체 차이신은 10일, 며칠 전까지만 해도 붐비던 상하이항의 미국행 화물선이 관세 시행 이튿날부터 자취를 감췄다고 보도했다.
지난 7~8일, 상하이 양산항과 와이가오차오항에 정박해 있던 컨테이너선 중 절반은 미국을 목적지로 했으며, 대부분 관세 시행 이전 출항을 서두르던 선박들이었다. 하지만 시기를 놓친 선박은 부두에 발이 묶였고, 화주는 고액의 관세 부담으로 화물 반출과 통관 취소에 나서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중국 국영 해운사 중위안하이콩 양산 부두 담당자는 “야적장에 통관을 포기한 컨테이너들이 쌓여가고 있다”며 “많은 화주가 통관 취소 절차를 밟는 중”이라고 전했다.
실제 통계도 이를 반영한다. 화타이선물의 불완전 통계에 따르면, 4월 14~20일, 5월 5~11일 사이 중국발 미국 서부·동부 항로 선박은 총 26회 취소되었으며, 운송 능력은 전월 대비 약 40%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세계 최대 해운회사 MSC는 4월 항차 6건을 취소했고, 아시아 3대 해운사 연맹인 프리미어 얼라이언스는 5월 개통 예정이던 미주 노선 운항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해운 컨설팅업체 드루어리는 “아시아–북미 노선의 운송 능력 중 53%가 취소될 전망”이라며,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이 국제 무역과 해운 시장을 구조적으로 재편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