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주한미군 약 4,500명을 한국에서 철수해 괌을 비롯한 인도태평양 지역에 재배치하는 방안을 공식 검토 중이다. 이는 미국의 대외 안보 전략 변화, 특히 중국을 견제하려는 인도태평양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되고 있다.
![]() [코리안투데이] 주한미군과 장갑차(스트라이커) © 현승민 기자 |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 국방부 고위 관계자들의 발언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아직 승인하지 않은 이 방안이 내부적으로 비공식 검토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현재 한반도에 주둔 중인 미군 약 2만8,500명 중 약 4,500명이 철수 대상에 포함될 수 있으며, 재배치 목적지는 전략적 요충지인 괌으로 알려졌다.
괌은 잠재적 분쟁 지역과 가까우면서도 중국군의 직접적인 접근이 어려운 지리적 특성 덕분에 최근 미국의 핵심 전력 허브로 급부상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병력 이동이 아닌, 미중 패권 경쟁의 최전선에서 벌어지는 전략 재편의 신호탄으로 읽힌다.
주한미군 감축은 한국의 안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에도 방위비 분담금을 문제 삼아 주한미군의 주둔 비용을 둘러싼 논란을 일으켰으며, 이번 조치가 실제 시행될 경우 동북아 전체의 안보 균형에도 적지 않은 파장이 예상된다.
주한미군사령관 제이비어 브런슨은 최근 미 의회 청문회에서 “중국과 러시아의 군사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한반도에 미군 지상군을 유지하는 것이 전략적으로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동시에 그는 “주한미군이 대만 해협 등 다양한 지정학적 상황에 대응하는 ‘전략적 유연성’을 확보할 것”이라며, 주둔 개념의 확장을 시사했다
북한의 도발 역시 상황의 긴박함을 더하고 있다. 북한은 2023년 말 남한을 ‘불변의 주적’으로 규정하며 적대 선언을 강화했으며, 2025년 5월에도 동해상으로 순항미사일을 발사하는 등 군사적 위협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 같은 움직임은 한국뿐 아니라 일본, 필리핀 등 미국 동맹국들의 안보 우려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미국이 동북아에서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해 새로운 방식의 군사 전략을 강구하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결정이 아직 내려지지 않은 상황이지만, 주한미군 철수 및 재배치 검토는 인도태평양 전체 안보 구조의 재편을 예고하며, 향후 미국의 외교 및 군사 정책 변화의 중요한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 현승민 기자 ulsangangnam@thekoreantoday.com ]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