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건물에 ‘건물 에너지 사용량 등급표’ 부착

공공건물에 ‘건물 에너지 사용량 등급표’ 부착

 

서울 동대문구(구청장 이필형)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건물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줄이기 위한 ‘공공건물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를 위해, 연면적 1,000㎡ 이상 공공건물 22개소에 ‘건물 에너지 사용량 등급표’를 부착한다고 18일 밝혔다.

 

 [코리안투데이] 동대문구 창업지원센터에 부착된 건물 에네지 사용량 등급표 모습(사진제공 : 동대문구청) © 박찬두 기자

서울시는 지난 15일 공공건물의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종합적인 계획인 ‘기후 동행 건물 프로젝트’ 시범 사업으로 ‘공공건물 에너지사용량 등급’을 공개했다. 같은 용도 및 유사 규모에 비해 에너지 사용량이 적을수록 높은 등급(A), 에너지 사용량이 많을수록 낮은 등급(E)으로 구분된다.

 

이번 에너지 조사는 전년도 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 등 에너지 사용량을 기준으로 진행되었으며, 동대문구 내 22개 공공건물은 A등급 3개소, B등급 12개소, C등급 6개소, D등급 1개소로 평가되었다. 그중 동대문구청사 에너지 등급은 B등급으로, 서울 25개 자치구 청사 중 에너지 등급 상위권에 해당한다.

 

구는 등급신고 대상 22개소 건물 주출입구 전면에 건물기본정보, 에너지사용량 등급,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 등이 기재된 등급표를 배부·부착했다.

 

동대문구는 공공건물 에너지 사용 실태를 조사 및 관리하는 한편, 향후 민간 건물로 대상을 확대하여 동대문구 전역의 건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기초정보를 수집할 예정이다.

 

또한 ‘찾아가는 건물 온실가스 관리·평가제 교육·홍보단’을 운영하여 연면적 3,000㎡ 이상, 20년 이상 노후 건물 100개소를 대상으로 건물 온실가스 감축 교육과 홍보를 통해 민간 부문의 참여를 유도할 계획이다.

 

이 제도는 공공기관의 책임 의식을 높이고, 투명한 환경 관리를 가능하게 하며, 건물의 에너지 사용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게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효율성이 낮은 건물은 개선 조치를 하고, 에너지 절약과 온실가스 배출 감소에 기여하고, 등급이 높은 건물은 모범 사례로서 다른 건물에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필형 동대문구청장은 “동대문구는 전국 최초로 민·관 협력을 통한 제로에너지 특화지구를 조성하는 등 건물분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서울시 건물 온실가스 관련 정책에 적극 협력하는 한편, 동대문구형 건물 탄소중립 실현 모델을 탄탄하게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담당 : 기후환경과

 문의 : 02-2127-4645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세종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