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5개 정예팀 최종 선정

 

 

국내 인공지능 기술 자립과 생태계 확장을 위한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가 본격적인 궤도에 올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 8 4일 해당 프로젝트의 발표평가 결과를 공개하며, 네이버클라우드, 업스테이지, SK텔레콤, 엔씨소프트, LG경영개발원 AI연구원 등 총 5개 정예팀이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국내 인공지능 분야에서 독자적인 기반 모델(Foundation Model)을 개발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적 토대를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참여 기업들은 모두 국내를 대표하는 AI 선도 기업들로, 각기 다른 기술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한층 진화된 AI 모델 개발에 도전한다.

 

 [코리안투데이]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홍보     ©송정숙 기자

 

네이버클라우드는 기존 대규모 언어모델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고성능 AI 모델의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업스테이지는 AI 교육·문서처리 특화 모델을 보유해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내고 있다. SK텔레콤은 통신 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AI 모델 개발 역량을 갖추고 있고, 엔씨소프트는 게임 AI를 포함한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AI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LG경영개발원 AI연구원은 기업 교육과 경영 혁신에 AI를 접목하는 연구 역량을 기반으로 이번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됐다.

 

 [코리안투데이]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주요 지원내용  © 송정숙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번 발표평가에 참여한 모든 팀이 뛰어난 역량과 의미 있는 도전을 보여주었다최종 선정된 5개 정예팀은 앞으로 국내 인공지능 생태계 확장을 이끌어 나갈 중요한 주체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이번 프로젝트가 국제적으로 파급력 있는 AI 모델을 개발하는 데 기여하고, 장기적으로 국내 AI 기술의 자립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견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는 향후 데이터 수집·학습 인프라 구축, 모델 개발 및 테스트, 다양한 서비스 분야 적용 등의 단계로 진행된다. 이를 통해 생성형 AI를 포함한 차세대 AI 기술 개발을 가속화하고,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연구 지원에 그치지 않고 민간 기업과 연구기관이 협력해 AI 모델 상용화까지 염두에 둔 점이 특징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국내 AI 기술의 독립성과 국제 경쟁력이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정부는 향후 추가적인 평가와 모니터링을 통해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필요한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내 AI 생태계가 보다 건강하고 자립적인 구조를 갖추고, 세계 시장에서도 경쟁력 있는 AI 강국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송정숙 기자: gangseo@thekoreantoday.com]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서초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